근(筋)

족양명(足陽明)의 경근[足陽明之筋]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489 추천 수 0
◎ 足陽明之筋 ○ 起于中二指結于?上加輔骨上結于膝上?樞上脇屬脊其直者循伏兎上結于?聚于陰器上腹而布至缺盆上頸挾口合于?下結于鼻上合于太陽太陽爲目上綱陽明爲目下綱 ○ 其病足中指轉筋?腫?疝腹筋急引缺盆口?目不合鍼法同上[靈樞]

☞ 족양명(足陽明)의 경근[足陽明之筋]

 ○ 이 경근은 가운뎃발가락의 둘째마디에서 시작하여 발맹충서 얽혔다가 비골[輔骨] 위를 거쳐 무릎에 와서 얽힌다. 그 다음 고관절을 거쳐 옆구리로 올라가 등뼈에 속한다. 곧바른 가닥은 복토(伏兎)를 지나 넓적다리에서 얽혔으며 음부에 모였다가 배로 올라가 결분(缺盆)에 가서 퍼지고 목으로 올라가 입을 끼고 광대뼈 아래에서 합친 다음 코에서 얽혔으며 태양경근과 합하는데 태양경근은 위쪽 눈두덩에서 얽히고 양명경근은 아래쪽 눈두덩에서 얽힌다. ○ 이 경근에 병들면 가운뎃발가락이 뒤틀리며 넓적다리가 붓고 퇴산(?疝)이 되며 배의 힘줄이 땅기고 결분까지 켕기며 입이 비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는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491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91
[구급(救急)] 우물이나 무덤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죽은 것[入井塚卒死]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머리털(毛髮)] 환관은 수염이 없다[宦官無鬚] 49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3가지 방법[治病三法] 490
[용약(用藥)] 18제(十八劑) 490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0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89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
[입과 혀(口舌)] 입에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口] 489
[근(筋)] 족양명(足陽明)의 경근[足陽明之筋] 489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사수(邪崇)] 단방(單方) 489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9
[풀(草部)] 적전(赤箭) 488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내상(內傷)] 침뜸치료[鍼炙法] 488
[괴질(怪疾)] 교룡가(蛟龍?)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