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筋)

단방(單方)/힘줄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537 추천 수 0
◎ 單方 ○ 凡十五種

☞ 단방(單方)/힘줄

 ○ 모두 15가지이다. 

◈ 溫泉 ○ 主諸風寒筋骨攣縮者可浴之濕多者不可[本草]
☞ 온천(溫泉) ○ 풍(風)과 한(寒)으로 뼈와 힘줄이 저리고 가드라드는 병 때에 목욕하면 좋다. 그러나 습이 많으면 좋지 않다[본초]. 

◈ 薏苡仁 ○ 主熱風筋脈攣急又主筋急拘攣煮粥常服[本草]
☞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 열(熱)과 풍으로 근맥(筋脈)이 가드라들고 땅기는 것과 힘줄에 갑자기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데는 율무쌀죽을 쑤어 늘 먹는다[본초]. 

◈ 獨活 ○ 治筋骨拳攣煮湯服之[本草]
☞ 독활(獨活, 땃두릅) ○ 힘줄과 뼈가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하는 데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淫羊藿 ○ 治筋骨攣急煮湯飮之又可釀酒服之[本草]
☞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 힘줄과 뼈가 가드라들고 땅기는 것을 치료하는 데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松節 ○ 治筋痛攣急?取一兩入乳香一錢銀石器同炒令焦爲末木瓜酒下二錢凡筋病皆治之[本草]
☞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 힘줄이 아프고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소나무마디(썬 것) 40g에 유향 4g을 섞어서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눋도록 볶아 가루를 내어 8g씩 모과술로 먹으면 모든 힘줄병을 다 치료할 수 있다[본초]. 

◈ 何首烏 ○ 長筋力或丸或散或浸酒久服佳[本草]
☞ 하수오(何首烏, 하수오) ○ 힘이 나게 한다. 알약을 만들거나 가루를 내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되 다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 五加皮 ○ 堅筋骨或煮服或釀酒久服[本草]
☞ 오가피(五加皮, 오가피) ○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오가피를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 酸棗仁 ○ 主筋骨風攣痛作末和酒服或煮粥服[本草]
☞ 산조인(酸棗仁, 산조인) ○ 풍(風)으로 힘줄과 뼈가 오그라들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산조인를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 杜仲 ○ 能使筋骨强或煮服或丸服竝佳[本草]
☞ 두충(杜仲) ○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두충을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木瓜 ○ 入肝故益筋能强筋骨凡筋病皆治之煮服丸服皆佳[本草]
☞ 목과(木瓜, 모과) ○ 간(肝)으로 가는 약이기 때문에 힘줄을 좋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모든 힘줄의 병을 다 치료할 수 있다.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覆盆子 ○ 益力又云倍力末服丸服皆佳[本草]
☞ 복분자(覆盆子) ○ 힘이 나게 하고 또한 힘을 곱절 쓰게 한다. 복분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荊芥 ○ 治手足筋急煮湯飮嫩者作?食亦可[本草]
☞ 형개(荊芥) ○ 손과 발의 힘줄이 땅기는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 어린[嫩] 것으로 생절이를 해 먹어도 좋다[본초]. 

◈ 鹿髓 ○ 主筋急痛以溫酒和服[本草]
☞ 녹수(鹿髓, 사슴의 골수) ○ 힘줄이 땅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데운 술에 타 먹는다[본초]. 

◈ 羚羊角 ○ 主風病筋攣?取屑煮湯服[本草]
☞ 영양각(羚羊角) ○ 풍병(風病)으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諸筋 ○ 食之令人多筋力六畜及獐鹿之筋皆可食[本草]
☞ 여러 동물의 힘줄[諸筋] ○ 이것을 먹으면 힘이 세진다. 가축이나 노루, 사슴의 힘줄은 다 먹을 수 있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손(手)] 풍이 성해서 팔다리에 병이 생긴 것[風淫末疾] 657
[손(手)] 팔이 아픈 것은 6개의 경맥과 관련이 있다[臂痛有六道經絡] 591
[손(手)]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1339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40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손(手)] 팔다리가 다는 것[四肢熱] 610
[손(手)] 손바닥을 보고 위의 상태를 알 수 있다[手掌以候胃] 709
[손(手)] 팔다리는 모든 양의 근본이 된다[四肢爲諸陽之本] 671
[손(手)] 손가락에는 각각 이름이 있다[手五指有名] 532
[손(手)] 팔에는 어깻죽지, 팔죽지, 팔굽, 팔뚝, 손목이 포함된다[手領肩 臂腕] 702
[손(手)] 팔의 부위별 치수[手部度數] 554
[골(骨)] 침뜸치료[鍼灸法]/뼈 529
[골(骨)] 단방(單方)/뼈 694
[골(骨)] 뼈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骨絶證] 540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골(骨)] 뼈가 상한 증[骨傷證] 720
[골(骨)] 뼈가 아픈 것[骨痛] 1040
[골(骨)] 골위(骨?) 684
[골(骨)] 뼈가 다는 것[骨熱] 574
[골(骨)] 뼈가 시린 것[骨寒] 835
[골(骨)] 광대뼈는 뼈의 근본이 된다[ 爲骨本] 528
[골(骨)] 등뼈의 수[脊骨有數] 526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골(骨)] 뼈는 신에 속한다[骨屬腎] 539
[근(筋)] 침뜸치료[鍼灸法]/힘줄 470
[근(筋)] 단방(單方)/힘줄 537
[근(筋)] 힘줄을 펴는 법[舒筋法] 522
[근(筋)] 근절(筋絶)의 증후[筋絶證] 466
[근(筋)] 힘줄병 때 겉에 나타나는 증후[筋病外證] 475
[근(筋)] 힘줄이 상한 것[筋傷證]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