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筋)

침뜸치료[鍼灸法]/힘줄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470 추천 수 0
◎ 鍼灸法 ○ 筋攣骨痛補魂門[綱目] ○ 膝曲筋急不能舒取曲泉[綱目] ○ 筋急不能行內?筋急灸內?四十壯外?筋急灸外?三十壯立愈[千金] ○ 膝筋攣急不開兩膝內外曲交尖各灸二七壯卽委陽穴[綱目] ○ 筋轉而痛瀉承山或灸二七壯[綱目] ○ 肝熱生筋?補行間瀉太衝[綱目] ○ 筋攣陰縮痛灸中封五十壯[資生] ○ 筋會陽陵泉筋病治此[難經]

☞ 침뜸치료[鍼灸法]/힘줄

 ○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가 아픈 데는 혼문혈[魂門]에 보법[補]을 쓴다[강목]. ○ 무릎이 꼬부라지고 힘줄이 땅겨서 펴지 못하는 데는 곡천혈[曲泉]에 놓는다[강목]. ○ 힘줄이 땅겨 걷지 못하는 데와 안쪽 복사뼈의 힘줄이 땅기는 데는 안쪽 복사뼈에 40장의 뜸을 뜨고 바깥쪽 복사뼈의 힘줄이 땅기면 바깥쪽 복사뼈에 30장의 뜸을 뜨면 낫는다[천금]. ○ 무릎의 힘줄이 가드라들고 땅겨서 펼 수 없는 데는 두 무릎의 안팎 꺾인 자리 끝(즉 위양혈(委陽穴))에 각각 27장의 뜸을 뜬다[강목]. ○ 다리에 쥐가 나면서 아픈 데는 승산혈[承山]에 침을 놓아 사(瀉)하거나 27장의 뜸을 뜬다[강목]. ○ 간(肝)에 열이 있어 근위(筋?)가 생긴 데는 행간혈[行間]에 침을 놓아 보하고 태충혈[太衝]은 사한다[강목]. ○ 힘줄이 땅기고 음낭이 졸아들면서 아픈 데는 중봉(中封)혈에 50장의 뜸을 뜬다[자생]. ○ 근의 회혈[會]인 양릉천혈[陽陵泉]은 힘줄에 생긴 병을 치료한다[난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