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骨)

골위(骨?)

한닥터 2011.08.24 조회 수 684 추천 수 0
◎ 骨? ○ 腎氣熱則腰脊不擧骨枯而髓減發爲骨?有所遠行勞倦逢大熱而渴渴則陽氣內伐內伐則熱舍於腎腎者水藏也今水不勝火則骨枯而髓虛故足不任身發爲骨?下經曰骨?者生於大熱也[內經]

☞ 골위(骨?)

 ○ 신기(腎氣)에 열이 있으면 허리와 잔등을 펴지 못하고 뼈가 마르고 골수가 줄어들어 골위가 된다. 그것은 먼 길을 걸었거나 피곤할 때에 몹시 뜨거운 것을 만나면 갈증이 나는데 갈증이 나면 양기가 속으로 들어가고 속으로 들어가면 열이 신에 들어가서 생긴다. 신은 수장(水藏)인데 수(水)가 화(火)를 이기지 못하므로 뼈가 마르고 골수가 비므로 다리가 몸을 이기지 못하여 골위가 된다. 『하경』에 골위(骨?)는 심한 열(熱)에서 생긴다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적심통(積心痛) 1400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가슴(胸)] 가슴과 배가 같이 아픈 것[心腹竝痛] 1134
[가슴(胸)]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1678
[가슴(胸)]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1214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2
[가슴(胸)]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139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心胃痛當分虛實] 128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1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心胃痛宜吐] 852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心胃痛宜下] 958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가슴(胸)] 구흉(龜胸) 648
[가슴(胸)] 흉비(胸?) 1817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비기(?氣)에 약을 싸매는 방법 506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가슴(胸)] 결흉(結胸) 1328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가슴(胸)] 소결흉(小結胸) 703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가슴(胸)] 열실결흉(熱實結胸) 644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