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手)

팔이 아픈 것은 6개의 경맥과 관련이 있다[臂痛有六道經絡]

한닥터 2011.08.24 조회 수 591 추천 수 0
◎ 臂痛有六道經絡 ○ 當以兩手伸直其臂貼身垂下大指居前小指居後而定之則其臂?之前廉痛屬陽明經後廉痛屬太陽經外廉痛屬少陽經內廉痛屬厥陰經內前廉痛屬太陰經內後廉痛屬少陰經視其何經而用鍼藥治之也[東垣]

☞ 팔이 아픈 것은 6개의 경맥과 관련이 있다[臂痛有六道經絡]

 ○ 양손을 곧추 폈다가 내려서 몸에 착 붙이되 엄지손가락은 앞으로 오게 하고 새끼손가락은 뒤로 가게 하였을 때 팔뚝과 팔죽지의 바깥쪽 앞이 아픈 것은 양명경(陽明經)에 속하는 것이고 뒤가 아픈 것은 태양경(太陽經)에 속하는 것이며 가운데가 아픈 것은 소양경(少陽經)에 속하는 것이고 안쪽 가운데가 아픈 것은 궐음경(厥陰經)에 속하는 것이고 안쪽의 앞이 아픈 것은 태음경(太陰經)에 속하는 것이며 안쪽의 뒤가 아픈 것은 소음경(少陰經)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경에 속하는 것인가를 보고 침이나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6
[충(蟲)] 단방(單方)/충 596
[눈(眼)] 침뜸치료[鍼灸法]/눈 596
[옆구리(脇)]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치수[脇腋度數] 596
[전음(前陰)]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596
[소아(小兒)] 비열(脾熱) 596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천지운기(天地運氣)]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595
[곽란(?亂)] 곽란 때에 침을 놓는 방법[?亂鍼法] 595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벌레(蟲部)]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95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594
[벌레(蟲部)] 오공(蜈蚣, 지네) 594
[풀(草部)] 자초(紫草, 지치) 593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곽란(?亂)] 곽란에는 건곽란과 습곽란이 있다[?亂有乾有濕] 593
[학질(?疾)] 단방(單方) 593
[해독(解毒)] 고독이 있는가 없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蠱毒法] 59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눈(眼)] 풍륜(風輪) 592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
[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592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2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