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手)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手循衣撮空摸床]

한닥터 2011.08.24 조회 수 619 추천 수 0
◎ 手循衣撮空摸床 ○ 傷寒熱病之極手循衣撮空摸床者凶産後血脫亦有此證[綱目] ○ 病人手尋衣領及亂捻物者肝熱也手?眉目鼻面者肺熱也[綱目] ○ 傷寒熱病尋衣撮空許學士說作肝熱風淫末疾此論雖然莫若斷之爲肺熱似爲愈矣其人必?言妄語經曰肺邪入心爲?語兼上焦有疾肺必主之手經者上焦也此肺之體肝之用肝主血血者陰物也陰不能自動盖肺主氣爲氣所鼓舞故靜者得動一者說肝之用一者說肺之體此天地互爲體用也[東垣]

☞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手循衣撮空摸床]

 ○ 상한열병(傷寒熱病)이 몹시 심해졌을 때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은 예후가 나쁘다.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려도 이런 증상이 있다[강목]. ○ 환자가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아무것이나 난잡하게 쥐는 것은 간에 열이 있기 때문이고 손으로 눈썹, 눈, 코, 얼굴을 쥐어뜯는 것은 폐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강목]. ○ 상한열병 때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는 것은 허학사(許學士)의 말에 의하면 간(肝)에 있던 열(熱)이 풍을 일으켜 생긴 것인데 잘 낫지 않는 병이라고 한다. 이 말이 그럴 듯하나 이것은 폐에 열이 있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런 환자는 반드시 헛소리를 한다. 그런데 『내경』에 "폐(肺)의 사기가 심(心)에 들어가면 헛소리를 한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또 상초(上焦)에 생긴 병은 반드시 폐와 연관되어 있고 손의 경맥은 상초(上焦)에 속한다.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것은 폐가 바탕이 되고 간이 작용한 것이다. 간(肝)은 혈을 주관하는데 혈(血)은 음(陰)이다. 음은 자기 자체로 움직이지 못한다.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그 기가 혈을 충동하게 하여 가만히 있던 혈을 움직이게 한다. 그러니 하나는 간의 활동을 말하는 것이고 하나는 폐가 바탕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하늘과 땅이 서로 합쳐져 사물의 근본바탕과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과 같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적심통(積心痛) 1400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가슴(胸)] 가슴과 배가 같이 아픈 것[心腹竝痛] 1133
[가슴(胸)]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1677
[가슴(胸)]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1214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2
[가슴(胸)]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139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心胃痛當分虛實] 128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0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心胃痛宜吐] 852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心胃痛宜下] 958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가슴(胸)] 구흉(龜胸) 648
[가슴(胸)] 흉비(胸?) 1817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비기(?氣)에 약을 싸매는 방법 506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가슴(胸)] 결흉(結胸) 1327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가슴(胸)] 소결흉(小結胸) 703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가슴(胸)] 열실결흉(熱實結胸) 644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