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手)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手循衣撮空摸床]

한닥터 2011.08.24 조회 수 619 추천 수 0
◎ 手循衣撮空摸床 ○ 傷寒熱病之極手循衣撮空摸床者凶産後血脫亦有此證[綱目] ○ 病人手尋衣領及亂捻物者肝熱也手?眉目鼻面者肺熱也[綱目] ○ 傷寒熱病尋衣撮空許學士說作肝熱風淫末疾此論雖然莫若斷之爲肺熱似爲愈矣其人必?言妄語經曰肺邪入心爲?語兼上焦有疾肺必主之手經者上焦也此肺之體肝之用肝主血血者陰物也陰不能自動盖肺主氣爲氣所鼓舞故靜者得動一者說肝之用一者說肺之體此天地互爲體用也[東垣]

☞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手循衣撮空摸床]

 ○ 상한열병(傷寒熱病)이 몹시 심해졌을 때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를 만지작거리는 것은 예후가 나쁘다.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려도 이런 증상이 있다[강목]. ○ 환자가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고 아무것이나 난잡하게 쥐는 것은 간에 열이 있기 때문이고 손으로 눈썹, 눈, 코, 얼굴을 쥐어뜯는 것은 폐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강목]. ○ 상한열병 때 옷깃을 어루만지고 헛손질하는 것은 허학사(許學士)의 말에 의하면 간(肝)에 있던 열(熱)이 풍을 일으켜 생긴 것인데 잘 낫지 않는 병이라고 한다. 이 말이 그럴 듯하나 이것은 폐에 열이 있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런 환자는 반드시 헛소리를 한다. 그런데 『내경』에 "폐(肺)의 사기가 심(心)에 들어가면 헛소리를 한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또 상초(上焦)에 생긴 병은 반드시 폐와 연관되어 있고 손의 경맥은 상초(上焦)에 속한다.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것은 폐가 바탕이 되고 간이 작용한 것이다. 간(肝)은 혈을 주관하는데 혈(血)은 음(陰)이다. 음은 자기 자체로 움직이지 못한다.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그 기가 혈을 충동하게 하여 가만히 있던 혈을 움직이게 한다. 그러니 하나는 간의 활동을 말하는 것이고 하나는 폐가 바탕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하늘과 땅이 서로 합쳐져 사물의 근본바탕과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과 같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비기(?氣)에 약을 싸매는 방법 506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가슴(胸)] 결흉(結胸) 1327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가슴(胸)] 소결흉(小結胸) 703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가슴(胸)] 열실결흉(熱實結胸) 644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6
[가슴(胸)] 음독결흉과 양독결흉[陰陽毒結胸] 589
[가슴(胸)] 지결(支結) 917
[가슴(胸)] 결흉에 약을 싸매는 방법 440
[가슴(胸)]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526
[가슴(胸)]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結胸不治證] 500
[가슴(胸)] 단방(單方)/가슴 631
[가슴(胸)] 침뜸치료[鍼灸法]/가슴 524
[젖(乳)] 젖몸 사이의 치수[乳間度數] 572
[젖(乳)] 남자와 여자는 젖과 신이 근본이 된다[男女乳腎爲根本] 672
[젖(乳)] 몸푼 뒤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2가지가 있다[産後乳汁不行有二] 539
[젖(乳)] 젖을 나오게 하는 것[下乳汁] 980
[젖(乳)] 몸풀기 전에 젖이 나오는 것[産前乳出] 559
[젖(乳)] 젖먹이가 없으면 젖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無兒則當消乳] 483
[젖(乳)] 취유와 투유[吹乳妬乳] 801
[젖(乳)] 유옹(乳癰) 1509
[젖(乳)] 유옹을 치료하는 방법[乳癰治法] 574
[젖(乳)] 젖멍울[結核]이 오래되면 유암이 된다[結核久成於?巖] 1192
[젖(乳)] 유옹은 나이가 많으면 잘 낫지 않는다[乳癰年高不治]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