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足)

단방(單方)/다리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702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三種

☞ 단방(單方)/다리

 ○ 모두 23가지이다. 

◈ 牛膝 ○ 治脚膝痛?弱不可屈伸煎服丸服或浸酒服竝佳腰腿之疾必用藥也[本草]
☞ 우슬(牛膝, 우슬) ○ 다리와 무릎이 아프며 여위고 약해져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알약을 먹거나 술에 담가 두고 그 술을 마셔도 다 좋다. 허리나 다리 병에는 이 약을 반드시 써야 한다[본초]. 

◈ 石斛 ○ 治脚膝疼冷弱煎服丸服竝佳[本草]
☞ 석곡(石斛) ○ 다리와 무릎이 아프고 시리며 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본초]. 

◈ 薏苡仁 ○ 去乾濕脚氣大驗和郁李仁作粥常服良[本草]
☞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 건각기(乾脚氣)와 습각기(濕脚氣)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이스라치씨(욱리인)와 함께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 威靈仙 ○ 一人足病不能行數十年一僧敎服此藥爲末每二錢酒調服數日能步履[本草]
☞ 위령선(威靈仙, 위령선뿌리) ○ 어떤 사람이 다리에 병이 생겨 걸음을 걷지 못한 지가 수십 년이 되었는데 어떤 사람이 이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으라고 알려 주었다. 그리하여 며칠 동안 먹었는데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본초]. 

◈ 何首烏 ○ 治骨軟風腰膝痛何首烏一斤牛膝半斤黑豆三升煮取汁拌蒸三次共?成泥?乾爲末棗肉和丸梧子大酒下五七十丸[入門]
☞ 하수오(何首烏, 하수오) ○ 뼈가 연약한 것과 풍으로 허리와 무릎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하수오 600g과 우슬 300g을 섞어서 검정콩(흑두) 3되를 삶은 물에 버무려 세번 찐 다음 풀기있게 짓찧는다. 이것을 볕에 말려 가루내서 대추살(棗肉)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입문]. 

◈ ?麻葉 ○ 主脚氣腫痛取葉蒸?日三易卽差[本草]
☞ 피마엽(?麻葉, 아주까리잎) ○ 각기병(脚氣病)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잎을 쪄서 하루 세번 다리에 찜질하면 낫는다[본초]. 

◈ 牽牛子 ○ 治脚氣腫滿取頭末蜜丸小豆大每五丸薑湯下小便利卽止[本草]
☞ 견우자(牽牛子, 견우자) ○ 각기병으로 다리가 퉁퉁 붓는 데 쓴다. 맏물가루를 내어 봉밀로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으면 오줌이 잘 나오면서 낫는다[본초]. 

◈ 松節 ○ 主脚弱?痛煮取汁釀酒取淸飮之良[本草]
☞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 다리가 약해지면서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끓여서 즙을 내어 술을 만들어 맑은 술을 먹으면 좋다[본초]. 

◈ 五加皮 ○ 療??脚弱釀酒服或水煎如茶飮之[本草]
☞ 오가피(五加皮) ○ 위벽(??)으로 다리가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술을 빚어 먹거나 물에 달여서 차처럼 마신다[본초]. 

◈ 桑枝茶 ○ 治脚氣久服之佳[本草]
☞ 상지다(桑枝茶, 뽕나무가지차) ○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 川椒 ○ 治寒濕脚氣川椒盛疎布袋中置微火上跣足踏椒囊寒濕散去卽效[入門]
☞ 천초(川椒, 산초) ○ 한습(寒濕)으로 생긴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설핀 베주머니에 넣어서 미지근한 불돌 위에 놓은 다음 발로 산초 주머니를 밟고 있으면 한습이 빠지고 낫는다[입문]. 

◈ 檳? ○ 治脚氣衝心氣急鷄心檳?末二錢以童便薑汁溫酒各半盞調服[本草]
☞ 빈랑(檳?) ○ 각기충심(脚氣衝心)으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좋은 빈랑을 가루내어 8g을 어린아이 오줌,생강즙과 술 각각 반잔씩 섞은 데 타서 먹는다[본초]. 

◈ ?魚及鰻?魚 ○ 竝主脚氣作膾常食?魚膾亦佳[本草]
☞ 여어와 장여어(?魚鰻?魚, 가물치와 뱀장어) ○ 이것은 다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회를 쳐서 늘 먹어야 한다. 붕어회[?魚膾]도 좋다[본초]. 

◈ 田螺 ○ 主脚氣上衝取螺煮食之?肉亦佳[本草]
☞ 전라(田螺, 우렁이) ○ 주로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上衝] 것을 치료하는데 삶아서 먹는다. 가막조갯살(?肉)도 좋다[본초]. 

◈ 生栗 ○ 治脚氣及脚弱無力袋盛風乾每日空心食十餘杖[本草]
☞ 생율(生栗, 생밤) ○ 각기병과 다리가 약해지고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자루에 넣어서 바람에 말려 매일 열알씩 빈속에 먹는다[본초]. 

◈ 木瓜 ○ 治脚氣及脚氣上衝取一顆濃煎湯飮之[本草]
☞ 목과(木瓜, 모과) ○ 각기병과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 것을 치료하는데 1개를 진하게 달여서 마신다[본초]. 

◈ 黑豆 ○ 治脚氣衝心取豆濃煎汁飮之和甘草煎服尤佳[本草]
☞ 흑두(黑豆, 검정콩) ○ 각기충심(脚氣衝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감초와 함께 달여 먹으면 더 좋다[본초]. 

◈ 赤小豆 ○ 甚治脚氣水腫和鯉魚煮食甚佳[本草]
☞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 각기병과 수종(水腫)병을 치료하는데 잉어[鯉魚]와 함께 끓여서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 紫蘇 ○ 治脚氣取葉煮湯如茶飮之又取子二兩硏取汁入粳米?醬椒薑煮粥食之[本草]
☞ 자소(紫蘇, 차조기) ○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잎을 달여서 찻물처럼 늘 마신다. 또한 자소자 80g을 갈아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입쌀(粳米), 파, 간장, 후추, 생강을 넣고 죽을 쑤어 먹어도 된다[본초]. 

◈ 鹿蹄肉 ○ 治脚膝?痛不得踐地取蹄四隻治如食法着五味煮熟食之[本草]
☞ 녹제육(鹿蹄肉, 사슴발족고기) ○ 다리와 무릎이 시글고 아파서[?痛] 땅을 밟을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사슴발족 4개를 보통 먹는 것처럼 손질한 다음 양념을 두고 삶아 익혀서 먹는다[본초]. 

◈ 犬肝猪肝 ○ 竝主脚氣上衝作膾以薑醋進之當泄若先泄勿服[本草]
☞ 견간저간(犬肝猪肝, 개간과 돼지간) ○ 이것은 다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 데 쓴다. 회를 만들어 생강과 식초를 쳐서 먹으면 설사가 난다. 만일 약을 먹기 전에 먼저 설사가 나면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烏牛尿 ○ 治脚氣水腫取雄牛新尿飮一升小便利則漸消黃牛亦可[本草]
☞ 오우뇨(烏牛尿, 검은 소의 오줌) ○ [번역생략] 

◈ 人尿 ○ 治脚氣痛不可忍取自己尿或童子尿令煖盛桶浸兩脚以物盖覆勿泄氣[澹寮]
☞ 인뇨(人尿, 사람의 오줌) ○ [번역생략]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756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0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2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8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8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3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6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9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6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2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38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1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1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8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