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털(毛髮)

부인은 수염이 없다[婦人無鬚]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483 추천 수 0
◎ 婦人無鬚 ○ 黃帝曰婦人無鬚者無血氣乎岐伯對曰衝脈任脈皆起於胞中上循腹裏爲經絡之海其浮而外者循腹右上行會於咽喉別而絡脣口血氣盛則充膚熱肉血獨盛則澹?皮膚生毫毛今婦人之生有餘於氣不足於血以其數脫血也衝任之脈不榮口脣故鬚不生焉[靈樞]

☞ 부인은 수염이 없다[婦人無鬚]

 ○ 황제가 "부인들은 수염이 없는데 그것은 혈기가 없어서 그런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부인은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다 자궁에서 시작되었는데 위로 뱃속을 따라 올라가서는 경락(經絡)이 모이는 곳이 되고 겉으로 나와 배의 오른쪽을 따라 위로 올라가서 목구멍에 모였다가 갈라져 나가서는 입술과 입 안에 얽혔다. 혈기(血氣)가 성하면 피부가 든든하고 살이 덥다. 혈만 혼자 성하여 피부로 스며들어가면 털이 난다. 부인은 기가 넉넉하고 혈이 부족한데 그것은 자주 피를 흘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충맥과 임맥이 입과 입술을 영양하지 못한다. 때문에 수염이 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