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음(前陰)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596 추천 수 0
◎ 前陰諸疾 ○ 前陰諸疾皆由足厥陰與督脈經曰足厥陰之脈入毛中過陰器抵小腹是肝脈所過又曰督脈者起於小腹以下骨中央女子入繫挺孔循陰器男子循莖下至簒與女子等是督脈所過也 ○ 足厥陰之脈病爲丈夫?疝狐疝婦人小腹腫[靈樞] ○ 督脈起於下極之兪竝於脊裏上至風府任脈起於中極之下以上毛際循腹裏至咽喉任脈爲病男子內結七疝女子帶下?聚[靈樞] ○ 陰腫陰?陰痒陰挺陰縮木腎陰蝕瘡腎藏風皆前陰之疾也

☞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은 다 족궐음경맥[足厥陰]이나 독맥(督脈)과 연관되어 있다. 『내경』에 "족궐음경맥은 음부의 털이 난 곳의 가운데로 들어가 전음을 지나서 아랫배로 올라갔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간경맥[肝脈]이 지나간 것을 말하는 것이다. 『내경』에는 또한 "독맥은 아랫배의 아래쪽에 있는 뼈의 한가운데에서 시작되었는데 여자는 음정에 들어가 연결된 다음 음부를 따라 내려갔다. 남자는 음경을 따라 내려갔는데 회음부로 간 것은 여자와 같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독맥이 지나간 것을 말하는 것이다. ○ 족궐음경맥에 병이 생기면 남자는 퇴산(?疝)이나 호산(狐疝)이 되고 여자는 아랫배가 붓는다[영추]. ○ 독맥은 미려골(下極)의 맨 끝에서 시작하여 등뼈 속으로 해서 위로 올라가 풍부(風府)혈로 갔고 임맥(任脈)은 중극혈(中極穴)의 아래에서 시작하여 음부의 털 난 지경으로 올라와 뱃속을 지나서 목구멍까지 갔다. 임맥에 병이 생기면 남자는 7산(七疝)이 되고 여자는 대하(帶下)나 징가(?), 적취(積聚)가 된다[영추]. ○ 음부가 붓는 것[陰腫], 음위증(陰?證), 음부가 가려운 것[陰痒], 음정(陰挺), 음축(陰縮), 목신(木腎), 음식창(陰蝕瘡), 신장풍(腎藏風)은 다 전음에 생긴 병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을 죽이는 약을 먹는 방법[殺諸蟲服藥法] 767
[이빨(牙齒)]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塞耳鼻止牙痛方] 767
[부인(婦人)]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767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7
[벌레(蟲部)]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767
[채소(菜部)] 첨호(甛瓠, 단호박) 767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적취(積聚)] 면적(麵積) 7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오줌(小便)] 포비증(?痺證) 765
[입과 혀(口舌)]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765
[부인(婦人)]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765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5
[담음(痰飮)] 맥 보는 법[脈法]/담음 764
[신장(腎臟)] 신장을 수양하는 법[腎臟修養法] 764
[허로(虛勞)] 이양병(二陽病) 764
[후음(後陰)] 암치질[牝痔] 763
[습(濕)] 습은 물 기운이다[濕乃水氣] 763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3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2
[소아(小兒)] 구배와 구흉[龜背龜胸] 762
[채소(菜部)] 총백(蔥白, 파밑) 총실(蔥實, 파씨) 총근(蔥根, 파뿌리) 총엽(蔥葉, 파잎) 총화(蔥花, 파꽃) 호총(胡蔥) 762
[혈(血)]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761
[벌레(蟲部)] 오령지(五靈脂) 76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760
[코(鼻)] 코는 폐와 통하는 구멍이다[鼻爲肺之竅] 760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곽란(?亂)] 배멀미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水疾吐瀉] 760
[소아(小兒)] 실열(實熱)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