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음(前陰)

산증에는 7가지가 있다[疝病有七]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642 추천 수 0
◎ 疝病有七 ○ 疝名雖七寒疝卽疝之總名也水疝卽?疝之屬氣疝卽狐疝之屬血疝卽癰癤之屬惟筋疝罕見之盖下疳瘡之屬也[綱目] ○ 七疝者寒疝水疝筋疝血疝氣疝狐疝?疝是也[子和] ○ 曰疝曰奔豚曰小腸氣曰膀胱氣通謂之腎氣[直指] ○ ?有四種曰腸?曰卵?曰氣?曰水?[千金] ○ ?疝之中有木腎者有偏墜者[入門] ○ 陰?屬肝系宗筋胃陽明養之世多不識謂之外腎非也[三因] ○ 又有七疝一曰厥疝二曰?疝三曰寒疝四曰氣疝五曰盤疝六曰附疝七曰狼疝[聖惠方無證] ○ 戴氏曰疝本屬厥陰一經俗說小腸膀胱腎氣者皆妄言也[丹心]

☞ 산증에는 7가지가 있다[疝病有七]

 ○ 산증에는 7가지가 있다. 한산(寒疝)이라고 하는 것은 산증의 총체적인 이름이다. 수산(水疝)은 퇴산(?疝)에 속하고 기산은 호산(狐疝)에 속한다. 혈산(血疝)은 옹절(癰癤) 같은 것이고 근산(筋疝)은 보기 드문 것인데 하감창(下疳瘡) 같은 것이다[강목]. ○ 7가지 산증이란 한산, 수산, 근산, 혈산, 기산, 호산, 퇴산을 말한다[자화]. ○ 산증, 분돈(奔豚), 소장기(小腸氣), 방광기(膀胱氣)를 통틀어서 신기(腎氣)라고 한다[직지]. ○ 퇴산에는 4가지가 있는데 장퇴(腸?), 난퇴(卵?), 기퇴(氣?), 수퇴(水?)이다[천금]. ○ 퇴산 가운데는 목신(木腎)이라는 것도 있고 편추(偏墜)라는 것도 있다[입문]. ○ 음퇴(陰?)는 간에 속하는데 양명위[胃陽明]가 영양하는 종근에 매어 있다. 이것을 세상 사람들은 알지 못하고 외신[外腎]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이다[삼인]. ○ 또한 7산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 첫째는 궐산(厥疝)이고 둘째는 징산(?疝), 셋째는 한산(寒疝), 넷째는 기산(氣疝), 다섯째는 반산(盤疝), 여섯째는 부산(附疝), 일곱째는 낭산(狼疝, 『성혜방(聖惠方)』에는 이름만 있고 증상은 없다)이다. ○ 대씨(戴氏)는 "산증은 본래 궐음경 한 곳에만 속한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소장, 방광, 신기와 연계되었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 말이다"고 하였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배(腹)]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881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29
[배(腹)]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875
[배(腹)] 충으로 배가 아픈 것[蟲腹痛] 547
[배(腹)]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1243
[배(腹)] 냉이 쌓여서 배가 아픈 것[積冷腹痛] 697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배(腹)]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865
[배(腹)]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腹皮麻痺或痛] 1141
[배(腹)]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1216
[배(腹)] 용수증(涌水證) 902
[배(腹)] 여러 가지 배아픈 증[腹痛諸證] 555
[배(腹)] 배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腹痛宜通利] 756
[배(腹)] 복통을 두루 치료한다[腹痛通治] 941
[배(腹)] 복통의 나쁜 증후[腹痛凶證] 535
[배(腹)] 단방(單方)/배 590
[배(腹)] 침뜸치료[鍼灸法]/배 585
[배꼽(臍)] 배꼽은 몸의 중심에 있다[臍居一身之中] 545
[배꼽(臍)] 배꼽 아래에 단전이 있다[臍下有丹田] 666
[배꼽(臍)] 연제법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煉臍延壽] 804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는 것이 좋다[臍宜溫煖] 558
[배꼽(臍)] 뜸 대신 배꼽에 바르는 고약[代灸塗臍膏] 849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하는 처방[溫臍種子方] 496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해 주기 위해서 배를 싸매 주는 방법[溫臍兜?方] 554
[배꼽(臍)] 약쑥으로 배꼽을 봉하는 방법[封臍艾] 526
[배꼽(臍)]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1089
[배꼽(臍)] 배꼽병에서 나쁜 증[臍凶證] 752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허리(腰)] 허리 둘레의 치수[腰圍度數] 731
[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