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음(後陰)

기치(氣痔)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675 추천 수 0

기치(氣痔)

근심하거나 무서워하거나 노여운 일이 있으면 곧 항문이 부으면서 아픈 것을 말하는데 이런 때에는 기를 헤쳐지게 하면 낫는다. 그러므로 가미향소산, 귤피탕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치질 by 한닥터
  2. 방약합편 032. 加味香蘇散(가미향소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허번(虛煩)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痔有內外] by 한닥터
  5. 태암 처방집 感冒風寒(감모풍한) 加味香蘇散(가미향소산) by 한닥터
  6. 태암 처방집 加味香蘇散(가미향소산) by 한닥터
  7. 방약합편 61. 橘皮湯(귤피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귤피탕(橘皮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by 한닥터
  10. 임상 경험방 가미향소산 - 폐디스토마 - 김종팔 by 한닥터
  11. 고방 처방집 귤피탕 橘皮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氣)]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1069
[가슴(胸)] 흉비(胸?) 1817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젖(乳)] 취유와 투유[吹乳妬乳] 801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화(火)] 허번(虛煩) 1012
[내상(內傷)]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1262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2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구토(嘔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1327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9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