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4철의 기후[四時氣候]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06 추천 수 0
◎ 四時氣候 ○ 經曰五日謂之候三候謂之氣六氣謂之時四時謂之歲也常五日一候應之故三候成一氣卽十五日也三氣成一節節謂立春春分立夏夏至立秋秋分立冬冬至此八節也三八二十四氣而分主四時一歲成矣春秋言分者陰陽寒暄之氣到此可分之時也冬夏言至者陰陽至此極至之時也夏至日長不過六十刻陽至此而極冬至日短不過四十刻陰至此而極故經曰分則氣異至則氣同此之謂也[入式]

☞ 4철의 기후[四時氣候]

 ○ 『내경』에 "5일을 1후(一候)라고 하고 3후를 1기(一氣)라고 하며 6기를 한 계절이라고 하고 4철을 한 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5일은 1후가 되고 3후는 1기이다. 그러니 1기는 15일간이 된다. 3기가 1절(一節)이 된다. 절이란 입춘(立春), 춘분(春分), 입하(立夏), 하지(夏至), 입추(立秋), 추분(秋分), 입동(立冬), 동지(冬至)를 말하는데 이것을 8절이라고 한다. 8에 3을 곱하면 24기(氣)가 되는데 이것이 나누어져 4철을 주관한다. 그러면 1년이 된다. 봄에 춘분, 가을에 추분이라고 하는 것은 음양의 차고 더운 기운이 이때에 와서 나누어진다는 의미이다. 여름에 하지, 겨울에 동지라고 하는 것은 음양이 이때에 와서 극도에 이른다는 의미이다. 하지에 해가 길다고 하여도 60각(刻)을 넘지 못하는 것은 이때에 양(陽)이 극도에 달하기 때문이고 동지에 해가 짧다고 하여도 40각에서 더 줄어들지 못하는 것은 이때에 음(陰)이 극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내경』에 "분(分)에서부터 기운이 달라지고 지(至)에서 부터 기운이 같아진다"고 한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입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잡방(雜方)] 신선고본주(神仙固本酒) 752
[잡방(雜方)] 무술주(戊戌酒) 474
[잡방(雜方)] 천문동주(天門冬酒) 625
[잡방(雜方)] 지황주(地黃酒) 496
[잡방(雜方)] 구기자주(枸杞子酒) 411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잡방(雜方)]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解鬱氣] 471
[잡방(雜方)] 짐승이 먹으면 곧 취하는 것[獸食物卽醉] 480
[잡방(雜方)] 기와나 돌을 붙이는 방법[粘瓦石] 614
[잡방(雜方)]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集鼠] 438
[잡방(雜方)] 물고기를 죽이는 방법[殺魚] 476
[잡방(雜方)] 새와 짐승과 쥐를 죽이는 방법[殺禽獸賊鼠] 646
[잡방(雜方)] 좀을 없애는 방법[??] 580
[잡방(雜方)] 모기와 파리를 없애는 방법[?蚊蠅] 685
[잡방(雜方)] 벼룩과 이를 없애는 방법[?蚤?] 1109
[잡방(雜方)] 향비조(香肥?) 603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잡방(雜方)] 여러 가지 향처방 628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잡방(雜方)] 옷에 묻은 기름과 때를 빼는 방법[去衣油及衣垢] 842
[잡방(雜方)] 질투하는 것을 없어지게 하는 방법[去妬方] 668
[잡방(雜方)] 부부가 서로 사랑하게 하는 방법[令夫婦相愛] 539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잡방(雜方)] 헛것을 보는 방법[見鬼方] 522
[잡방(雜方)] 헛것을 쫓아버리고 신명이 통하게 하는 방법[去鬼通神] 468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4
[잡방(雜方)] 몸에서 향기가 나게 하는 방법[香身法] 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