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6기가 만나는 날짜[交六氣時日]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53 추천 수 0
◎ 交六氣時日 ○ 內經曰顯明之右君火之位顯明謂之日卽卯位也君火之右退行一步相火治之復行一步土氣治之復行一步金氣治之復行一步水氣治之復行一步木氣治之者乃六氣之主位也自十二月中氣大寒日交木之初氣次至二月中氣春分日交君火之二氣次至四月中氣小滿日交相火之三氣次至六月中氣大暑日交土之四氣次至八月中氣秋分日交金之五氣次至十月中氣小雪日交水之六氣每氣(氣卽步也)各主六十日八十七刻半總之乃三百六十五日二十五刻共周一歲也此乃地之陰陽所謂靜而守位者也常爲每歲之主氣乃主氣之常紀也氣應之不同者又有天之陰陽所謂動而不息自司天在泉左右四間是也輪行而居其上名之曰客氣客氣乃行歲中之天命天命所至則又有寒暑燥濕風火之化主氣則當祗奉客之天命客勝則從主勝則逆二者有勝而無復矣[入式]

☞ 6기가 만나는 날짜[交六氣時日]

 ○ 『내경』에 "현명(顯明)의 오른쪽이 군화(君火)의 위치이다"고 씌어 있는데 현명이라는 것은 해[日]를 말한다. 즉 묘(卯)의 위치이다. 군화의 오른쪽에서 한 걸음 나간 곳은 상화(相火)가 주관하고 또 한 걸음 나간 것은 토기(土氣)가 주관하며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금기(金氣)가 주관하고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수기(水氣)가 주관하며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목기(木氣)가 주관하는데 이것이 6기가 주관하는 위치이다. 12월의 중기(中氣) 대한(大寒)날에 목의 첫째 기와 만나고 다음 2월의 중기 춘분(春分)날에 군화(君火)의 둘째 기와 만나며 다음 4월의 중기 소만(小滿)날에 상화(相火)의 셋째 기와 만나고 다음 6월의 중기 대서(大暑)날에 토의 넷째 기와 만나며 다음 8월의 중기 추분(秋分)날에 금의 다섯째 기와 만나며 다음 10월의 중기 소설(小雪)날에 수의 여섯번째 기와 만난다.이 매개 기(氣, 기란 즉 보(步)이다)가 각각 60일(日) 87각반(刻半)씩 맡고 있으니 모두 365일 25각이 되는데 이것이 1년이다. 이것이 땅의 음양(陰陽)인데 움직이지 않고 위치를 지킨다. 그리고 이것이 매년의 주기(主氣)이면서 주기의 정상적인 도수[紀]이다. 기가 돌아가는 것이 같지 않고 또한 하늘의 음양이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사천(司天)과 재천(在泉), 좌우 4간(四間)이 있다. 돌아가다가 그 위에 앉는 것을 객기(客氣)라고 한다. 객기란 한해 동안 돌아가는 법칙이다. 이 법칙이 작용하는 곳에는 또한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의 작용이 있다. 주기(主氣)는 객기(客氣)의 법칙을 받아 작용한다. 객기가 이기면 순종(順從)이고 주기가 이기면 거슬린다. 이 2가지가 서로 이기기는 하지만 보복하지는 않는다[입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6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7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2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