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의 운을 규정하는 것[五運紀運]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97 추천 수 0
◎ 五運紀運 ○ 十干之中五陰五陽也立爲五運太過不及互相乘之所謂甲己合乙庚合丙辛合丁壬合戊癸合是也陽年曰太過陰年曰不及平氣之歲不可預紀之須以當年之辰日時干依法推之(詳見本文)木運大角歲曰發生(太過)少角歲曰委和(不及)正角歲曰敷和(平氣)火運大徵歲曰赫曦(太過)少徵歲曰伏明(不及)正徵歲曰升明(平氣)土運大宮歲曰敦阜(太過)少宮歲曰卑監(不及)正宮歲曰備化(平氣)金運大商歲曰堅成(太過)少商歲曰從革(不及)正商歲曰審平(平氣)水運大羽歲曰流衍(太過)少羽歲曰?流(不及)正羽歲曰順靜(平氣)各以紀之也氣之平則同正化無過與不及也[入式]

☞ 5운의 운을 규정하는 것[五運紀運]

 ○ 10간(十干)에는 5개의 음(陰)과 5개의 양(陽)이 있다. 이것이 5운(五運)의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이 되어 서로 번갈아 차지한다. 갑(甲)과 기(己)가 합하고 을(乙)과 경(庚)이 합하고 병(丙)과 신(辛)이 합하고 정(丁)과 임(壬)이 합하고 무(戊)와 계(癸)가 합하는 것이 이것이다. 양년(陽年)은 태과하고 음년(陰年)은 불급하고 평기(平氣)의 해[歲]는 미리 규정할 수 없다. 다만 당년의 태세[時干], 일진(日辰) 시간을 가지고 법대로 미루어 계산한다(자세한 것은 본문(本文)에 있다). 목운(木運)의 대각(大角)년을 발생(發生, 태과(太過))이라고 하고 소각(少角)년을 위화(委和, 불급(不及))라고 하며 정각(正角)년을 부화(敷和, 평기(平氣))라고 한다. 화운(火運)의 대치(大徵)년을 혁희(赫曦, 太過)라고 하고 소치(少徵)년을 복명(伏明, 不及)이라고 하며 정치(正徵)년을 승명(升明, 平氣)이라고 한다. 토운(土運)의 대궁(大宮)년을 돈부(敦阜, 太過)라고 하고 소궁(少宮)년을 비감(卑監, 不及)이라고 하며 정궁(正宮)년을 비화(備化, 平氣)라고 한다. 금운(金運)의 대상(大商)년을 견성(堅成, 태과(太過))이라고 하고 소상(少商)년을 종혁(從革, 불급(不及))이라고 하며 정상(正商)년을 심평(審平, 평기(平氣))이라고 한다. 수운(水運)의 대우(大羽)년을 유연(流衍, 대과(太過))이라고 하고 소우(少羽)년을 확류(?流, 불급(不及))라고 하며 정우(正羽)년을 순정(順靜, 평기(平氣))이라고 한다. 이것으로 각기 규정한다. 기가 평하면 정화(正化)와 같아지기 때문에 태과와 불급이 없다[입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괴질(怪疾)] 발가(髮?) 501
[물(水部)] 취탕(炊湯, 숭늉) 501
[흙(土部)] 적토(赤土) 501
[벌레(蟲部)] 맹충(?蟲, 등에) 501
[눈(眼)] 폭풍객열(暴風客熱) 500
[가슴(胸)]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結胸不治證] 500
[제창(諸瘡)] 단방(單方) 500
[괴질(怪疾)] 팔다리가 돌 같이 단단해진 것[四肢堅如石] 500
[벌레(蟲部)] 하(鰕, 새우) 500
[발(足)] 다리의 부위별 치수[足部度數] 499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이 태과하고 불급하는 해[五運之歲太過不及] 499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흙(土部)]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499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나무[木部]] 촉초(蜀椒, 조피열매) 초목(椒木, 조피나무)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진초(秦椒, 분지) 499
[맥(脈)] 6부맥에 음과 양이 뒤섞인 것[六脈陰陽錯綜] 498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화(火)] 침뜸치료[鍼炙法] 498
[괴질(怪疾)] 계가(鷄?) 498
[부인(婦人)] 부인의 행년을 보는 법[推婦人行年法] 498
[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98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의 운을 규정하는 것[五運紀運] 497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있는 증[難治可治證] 497
[물(水部)]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97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하는 처방[溫臍種子方]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