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525 추천 수 0
◎ 六甲年敦阜之紀 ○ 歲土太過雨濕流行腎水受邪民病腹痛淸厥意不樂肌肉?足?脚下痛中滿食減四肢不擧宜附子山茱萸湯[三因]

☞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 이 해에는 토운[土]이 태과(太過)하기 때문에 비가 오고 습기가 많아서 신수(腎水)가 사기[邪]를 받게 되어 병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배가 아프고 몸이 싸늘하며 기분이 좋지 않고 몸이 여위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발바닥이 아프고 속이 그득하며 입맛이 떨어지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한다. 이런 데는 부자산수유탕을 쓴다[삼인]. 

? 附子山茱萸湯 ○ 附子?山茱萸各一錢半半夏肉豆?各一錢二分半木瓜烏梅各一錢丁香藿香各七分半右?作一貼入薑七片棗二枚水煎服[三因]
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 부자(싸서 구운 것), 산수유 각각 6g, 반하, 육두구 각각 5g, 모과, 오매 각각 4g, 정향, 곽향 각각 3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포황(蒲黃, 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눈(眼)] 예(浮翳) 300
[눈(眼)] 옥예만(玉瞖浮滿) 389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배(腹)] 배 아픈 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2286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3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습(濕)] 중습(中濕) 1146
[습(濕)] 풍습(風濕) 1279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학질(?疾)] 한학(寒?) 843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채소(菜部)] 구채자( ?菜子, 추씨) 146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자)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