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350 추천 수 0
◎ 六丁年委和之紀 ○ 歲木不及燥乃盛行民病中淸?脇小腹痛腸鳴?泄宜?蓉牛膝湯[三因]

☞ (7)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 이 해에는 목운[木]이 불급(不及)하기 때문에 조(燥)한 기운이 성하여 유행하므로 병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속이 서늘하고[淸] 옆구리와 아랫배가 아프고 배가 끓으며 설사가 난다. 이런 데는 종용우슬탕을 쓴다[삼인]. 

? ?蓉牛膝湯 ○ 肉?蓉牛膝木瓜白芍藥熟地黃當歸甘草各一錢右?作一貼入薑三片烏梅一箇水煎服[三因]
☞ 종용우슬탕(?蓉牛膝湯) ○ 육종용, 우슬, 모과, 백작약, 숙지황, 당귀,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종용우슬탕(?蓉牛膝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단방(單方) 524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물고기(魚部)] 후어(?魚) 524
[눈(眼)] 외장(外障) 525
[이빨(牙齒)] 단방(單方)/이빨 525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부(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음식[飮食禁忌] 525
[새(禽部)] 촉옥(??) 52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풀(草部)] 애엽(艾葉, 약쑥잎) 애실(艾實, 약쑥씨) 526
[충(蟲)] 5장충(五臟蟲) 526
[눈(眼)]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526
[가슴(胸)]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526
[배꼽(臍)] 약쑥으로 배꼽을 봉하는 방법[封臍艾] 526
[맥(脈)] 촌(寸), 관(關), 척(尺)이 주관하는 것[寸關尺所主] 526
[골(骨)] 등뼈의 수[脊骨有數] 526
[머리털(毛髮)] 머리는 자주 빗어야 한다[髮宜多櫛] 526
[물(水部)] 온천물[溫泉] 526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학질(?疾)] 학질이 낮이나 밤, 일찍이 또는 늦게 발작하는 차이가 있다[?發有晝夜早晏之異] 527
[부인(婦人)] 임신 때의 몸조리[姙娠將理法] 527
[물(水部)] 역류수(逆流水) 527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물고기(魚部)] 구어(?魚, 대구) 527
[근(筋)] 족소양(足少陽)의 경근[足少陽之筋] 528
[골(骨)] 광대뼈는 뼈의 근본이 된다[ 爲骨本] 528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寒)] 상한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傷寒或愈或死日期] 528
[제상(諸傷)] 매를 맞아도 아프지 않게 하는 처방[打着不痛方] 528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것[姙娠禁忌]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