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395 추천 수 0
◎ 子午之歲 少陰司天陽明在泉 ○ 氣化運行先天 ○ 宜正陽湯[三因]

☞ (1) 자오년[子午之歲]

 ○ 자오년에는 소음(少陰)이 사천(司天)하고 양명(陽明)이 재천(在泉)한다. ○ 기후변화가 절기보다 앞선다. ○ 정양탕(正陽湯)을 쓴다[삼인]. 

◈ 初之氣 ○ 太陽加臨厥陰主春分前六十日有奇民病關節禁固腰?痛中外瘡瘍
☞ 첫째 기[初之氣] ○ 태양(太陽)이 궐음(厥陰) 위에 얹혀 춘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뼈마디가 뼛뻣하고 허리뼈가 아프며 속과 겉에 창양(瘡瘍)이 생기는 것이다. 

◈ 二之氣 ○ 厥陰加臨少陰主春分後六十日有奇民病淋目赤氣鬱而熱
☞ 둘째 기[二之氣] ○ 궐음(厥陰)이 소음(少陰) 위에 얹혀 춘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임병[淋疾], 눈에 피지는 것[目赤], 기가 울체[鬱]되면서 열이 나는 것 등이다. 

◈ 三之氣 ○ 少陰加臨少陽主夏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熱厥心痛寒熱更作咳喘目赤
☞ 셋째 기[三之氣] ○ 소음(少陰)이 소양(少陽) 위에 얹혀 하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열궐(熱厥), 가슴앓이[心痛],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기침하고 숨이 찬 것, 눈에 피지는 것[目赤] 등이다. 

◈ 四之氣 ○ 太陰加臨太陰主秋分前六十日有奇民病黃疸???乾吐飮
☞ 넷째 기[四之氣] ○ 태음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추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황달, 코가 메거나 코피가 나는 것, 목이 마르고 담음(痰飮)을 토하는 것 등이다. 

◈ 五之氣 ○ 少陽加臨陽明主秋分後六十日有奇民乃康
☞ 다섯째 기[五之氣] ○ 소양(少陽)이 양명(陽明) 위에 얹혀 추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는 사람들이 건강하다. 

◈ 終之氣 ○ 陽明加臨太陽主冬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上腫?喘甚則血溢
☞ 마지막 기[終之氣] ○ 양명(陽明)이 태양(太陽) 위에 얹혀 동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윗도리가 붓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차다가 심해지면 피가 넘쳐 나오는 것이다. 

? 正陽湯 ○ 白薇玄參川芎桑白皮當歸白芍藥旋覆花甘草炙各一錢右?入薑五片水煎服[三因]
☞ 정양탕(正陽湯) ○ 백미, 현삼, 천궁, 상백피, 당귀, 백작약, 선복화, 감초(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정양탕(正陽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오줌(小便)] 임병(淋病)에는 5가지가 있다[淋病有五] 738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풀(草部)] 단삼(丹參) 737
[혈(血)] 핏빛을 보고 갓 생긴 것과 오래된 것을 갈라내는 방법[辨血色新舊] 737
[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737
[간장(肝臟)]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736
[구토(嘔吐)] 침뜸치료[鍼炙法] 736
[학질(?疾)] 습학(濕?) 736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6
[진맥(診脈)] 음맥과 양맥[陰陽脈] 735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물고기(魚部)] 궐어(?魚, 쏘가리) 734
[목소리(聲音)] 궐기(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 733
[가슴(胸)] 가슴앓이[心痛]와 위완통의 원인은 다르다[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733
[소아(小兒)]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733
[허리(腰)] 허리 둘레의 치수[腰圍度數] 731
[후음(後陰)] 단방(單方)/후음 731
[황달(黃疸)] 황한(黃汗) 치료법 731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0
[꿈(夢)] 단방(單方)/꿈 730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옆구리(脇)] 암내[腋臭] 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