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279 추천 수 0
◎ 寅申之歲 ○ 少陽司天厥陰在泉 ○ 氣化運行先天 ○ 宜升明湯[三因]

 (3) 인신년[寅申之歲]

 ○ 인신년에는 소양(少陽)이 사천(司天)하고 궐음(厥陰)이 재천(在泉)한다. 기후변화는 절기보다 앞선다. ○ 승명탕(升明湯)을 쓴다[삼인]. 

◈ 初之氣 ○ 少陰加臨厥陰主春分前六十日有奇民病溫氣?於上血溢目赤頭痛血崩膚瘡
☞ 첫째 기[初之氣] ○ 소음(少陰)이 궐음(厥陰) 위에 얹혀 춘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열기[溫氣]가 떠올라 피가 위[上]로 넘쳐 나오고 눈에 피지며[目赤] 머리가 아프고 혈붕(血崩)이 생기며 피부에 헌데[瘡]가 생기는 것이다. 

◈ 二之氣 ○ 太陰加臨少陰主春分後六十日有奇民病熱鬱咳逆嘔吐頭痛身熱昏?膿瘡
☞ 둘째 기[二之氣] ○ 태음(太陰)이 소음(少陰) 위에 얹혀 춘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열울(熱鬱), 해역(咳逆), 구토, 두통, 몸에 열이 나고 정신이 아찔하며 헌데가 나는 것이다. 

◈ 三之氣 ○ 少陽加臨少陽主夏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熱中聾?血溢膿瘡喉痺目赤善暴死
☞ 셋째 기[三之氣] ○ 소양(少陽)이 소양 위에 얹혀 하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속이 달고[熱] 귀가 먹으며 피가 넘쳐 나오는 것, 고름이 생기는 헌데, 목이 아픈 것, 눈에 피지는 것, 갑자기 죽는 것 등이다. 

◈ 四之氣 ○ 陽明加臨太陰主秋分前六十日有奇民病腹滿身重
☞ 넷째 기[四之氣] ○ 양명(陽明)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추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배가 그득하고 몸이 무거워지는 것이다. 

◈ 五之氣 ○ 太陽加臨陽明主秋分後六十日有奇民避寒邪君子周密
☞ 다섯째 기[五之氣] ○ 태양(太陽)이 양명(陽明) 위에 얹혀 추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들은 찬 기운을 피해야 한다. 양생하는 사람들[君子]도 주의해야 한다. 

◈ 終之氣 ○ 厥陰加臨太陽主冬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心痛陽氣不藏而咳
☞ 마지막 기[終之氣] ○ 궐음(厥陰)이 태양(太陽) 위에 얹혀 동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가슴앓이, 양기(陽氣)가 저장되지 못해서 기침이 나는 것 등이다. 

? 升明湯 ○ 紫檀香車前子炒靑皮半夏酸棗仁薔薇甘草各一錢右?入薑五片水煎服[三因]
☞ 승명탕(升明湯) ○ 자단향, 차전자(볶은 것), 청피, 반하, 산조인, 장미,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승명탕(升明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누호(蔞蒿, 물쑥) 570
[채소(菜部)]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664
[채소(菜部)] 백채(白菜, 머위) 627
[풀(草部)] 풀부[草部] ○ 모두 79가지이다. 614
[신(神)] 건망증[健忘] 1876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건강(乾薑, 마른생강) 120
[채소(菜部)]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231
[채소(菜部)] 고거근(苦?根, 고거뿌리) 75
[채소(菜部)] 과자(瓜子, 참외씨) 99
[채소(菜部)] 과자엽(瓜子葉, 참외잎) 187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채소(菜部)] 과체(瓜蒂 , 참외꼭지) 94
[채소(菜部)]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96
[채소(菜部)] 감태(甘苔, 김) 114
[채소(菜部)] 구채자( ?菜子, 부추씨) 146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채소(菜部)] 균자(菌子, 땅버섯) 131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채소(菜部)] 곤포(昆布, 다시마) 177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채소(菜部)] 마고( ?菰, 표고버섯) 154
[채소(菜部)] 백개(白芥, 흰겨자) 71
[채소(菜部)] 백개자(白芥子, 흰겨자씨) 161
[채소(菜部)] 사근(渣芹) 71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74
[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93
[채소(菜部)] 야첨과(野甛瓜, 들참외) 97
[채소(菜部)] 월과(越瓜)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