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02 추천 수 0
◎ 巳亥之歲 ○ 厥陰司天少陽在泉 ○ 氣化運行後天 ○ 宜敷和湯[三因]

☞ (6) 사해년[巳亥之歲]

 ○ 사해년에는 궐음(厥陰)이 사천(司天)하고 소양(少陽)이 재천(在泉)한다. ○ 기후변화는 절기보다 뒤떨어진다. ○ 부화탕(敷和湯)을 쓴다[삼인]. 

◈ 初之氣 ○ 陽明加臨厥陰主春分前六十日有奇民病寒於右脇下
☞ 첫쩨 기[初之氣] ○ 양명(陽明)이 궐음(厥陰) 위에 얹혀 춘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오른쪽 갈비 아래가 차지는[寒] 것이다. 

◈ 二之氣 ○ 太陽加臨少陰主春分後六十日有奇民病熱中
☞ 둘째 기[二之氣] ○ 태양(太陽)이 소음(少陰) 위에 얹혀 춘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속이 열(熱)해지는 것이다. 

◈ 三之氣 ○ 厥陰加臨少陽主夏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淚出耳鳴掉眩
☞ 셋째 기[三之氣] ○ 궐음(厥陰)이 소양(少陽) 위에 얹혀 하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눈물이 나오는 것, 이명(耳鳴), 어지럼증이다. 

◈ 四之氣 ○ 少陰加臨太陰主秋分前六十日有奇民病黃疸?腫
☞ 넷째 기[四之氣] ○ 소음(少陰)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추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황달(黃疸)과 부종(腑腫)이다. 

◈ 五之氣 ○ 太陰加臨陽明主秋分後六十日有奇民病寒氣及體
☞ 다섯째 기[五之氣] ○ 태음(太陰)이 양명(陽明) 위에 얹혀 추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는 찬 기운이 몸에 침범하여 병이 생기게 된다. 

◈ 終之氣 ○ 少陽加臨太陽主冬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瘟?
☞ 마지막 기[終之氣] ○ 소양(少陽)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동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는 돌림병이 많이 돈다. 

? 敷和湯 ○ 半夏五味子枳實白茯?訶子乾薑?陳皮甘草炙各一錢右?入棗二枚水煎服[三因]
☞ 부화탕(敷和湯) ○ 반하, 오미자, 지실, 백복령, 가자, 건강(싸서 구운 것), 陳皮, 감초(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부화탕(敷和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영양각(羚羊角) 영양육(羚羊肉) 632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짐승(獸部)]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호두골(虎頭骨) 호경골(虎脛骨) 호육(虎肉) 804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짐승(獸部)]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모구육(牡狗肉) 모구혈(牡狗血) 602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짐승(獸部)] 야저황(野猪黃) 야저육(野猪肉) 야저지(野猪脂) 789
[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628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9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