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02 추천 수 0
◎ 巳亥之歲 ○ 厥陰司天少陽在泉 ○ 氣化運行後天 ○ 宜敷和湯[三因]

☞ (6) 사해년[巳亥之歲]

 ○ 사해년에는 궐음(厥陰)이 사천(司天)하고 소양(少陽)이 재천(在泉)한다. ○ 기후변화는 절기보다 뒤떨어진다. ○ 부화탕(敷和湯)을 쓴다[삼인]. 

◈ 初之氣 ○ 陽明加臨厥陰主春分前六十日有奇民病寒於右脇下
☞ 첫쩨 기[初之氣] ○ 양명(陽明)이 궐음(厥陰) 위에 얹혀 춘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오른쪽 갈비 아래가 차지는[寒] 것이다. 

◈ 二之氣 ○ 太陽加臨少陰主春分後六十日有奇民病熱中
☞ 둘째 기[二之氣] ○ 태양(太陽)이 소음(少陰) 위에 얹혀 춘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속이 열(熱)해지는 것이다. 

◈ 三之氣 ○ 厥陰加臨少陽主夏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淚出耳鳴掉眩
☞ 셋째 기[三之氣] ○ 궐음(厥陰)이 소양(少陽) 위에 얹혀 하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눈물이 나오는 것, 이명(耳鳴), 어지럼증이다. 

◈ 四之氣 ○ 少陰加臨太陰主秋分前六十日有奇民病黃疸?腫
☞ 넷째 기[四之氣] ○ 소음(少陰)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추분 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 사람에게 생기는 병은 황달(黃疸)과 종(腑腫)이다. 

◈ 五之氣 ○ 太陰加臨陽明主秋分後六十日有奇民病寒氣及體
☞ 다섯째 기[五之氣] ○ 태음(太陰)이 양명(陽明) 위에 얹혀 추분 후 6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는 찬 기운이 몸에 침범하여 병이 생기게 된다. 

◈ 終之氣 ○ 少陽加臨太陽主冬至前後各三十日有奇民病瘟?
☞ 마지막 기[終之氣] ○ 소양(少陽)이 태음(太陰) 위에 얹혀 동지 전후 각각 30일 남짓하게 주관한다. 이때에는 돌림병이 많이 돈다. 

? 敷和湯 ○ 半夏五味子枳實白茯?訶子乾薑?陳皮甘草炙各一錢右?入棗二枚水煎服[三因]
화탕(敷和湯) ○ 반하, 오미자, 지실, 백복령, 가자, 건강(싸서 구운 것), 陳皮, 감초(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부화탕(敷和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4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습(濕)] 풍습(風濕) 1279
[목(頸項)] 목이 뻣뻣한 것[項强] 1258
[기침(咳嗽)] 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습(濕)] 중습(中濕) 1146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9
[허리(腰)] 습으로 허리가 아픈 것[濕腰痛] 1082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가슴(胸)] 냉심통(冷心痛) 1003
[가슴(胸)] 열심통(熱心痛) 1003
[얼굴(面)] 얼굴이 시린 것[面寒] 997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3
[학질(?疾)] 담학(痰?) 944
[풀(草部)] 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