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547 추천 수 0
◎ 辨氣血痰火 ○ 氣證飮水血證不飮水[海藏] ○ 熱在上焦氣分則渴熱在下焦血分則不渴盖血中有濕故不渴也熱在下焦多不渴[東垣] ○ 血之外證常以湯水?口[直指] ○ 氣病則麻血病則痛[海藏] ○ 血之爲病上焦瘀血小便必難下焦瘀血小便必自利[直指] ○ 一切血證日輕夜重一切痰證食少肌色如故一切火證性急潮盛一切水證脇硬心下??[入門] ○ 無陽則厥無陰則嘔[直指]

☞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 기병[氣證] 때에는 물을 마시나 혈병[血證] 때에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해장]. ○ 열이 상초(上焦)의 기분(氣分)에 있으면 갈증이 난다. 열이 하초(下焦)의 혈분(血分)에 있으면 갈증이 없는데 그것은 혈 가운데 수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갈증이 나지 않는다. 하초에 열이 있을 때에는 갈증이 대부분 생기지 않는다[동원]. ○ 혈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늘 끓인 물로 양치하는 것이다[직지]. ○ 기병(氣病) 때에는 감각이 둔해지고 혈병(血病) 때에는 아픔이 있다[해장]. ○ 혈병 때 상초에 어혈(瘀血)이 있으면 오줌이 반드시 잘 나오지 못하고 하초에 어혈이 있으면 오줌이 잘 나온다[직지]. ○ 일체(一切) 혈병이 낮에는 경(輕)해지고 밤에는 중(重)해진다. 일체 담병 때에는 음식을 적게 먹는다. 그러나 살빛은 정상이다. 일체 화병[火證] 때에는 성질이 급해지고 조열[潮]이 심하다. 일체 수병[水] 때에는 옆구리가 뜬뜬하고 가슴이 두근거린다[입문]. ○ 양(陽)이 없으면 팔다리가 싸늘하고 음(陰)이 없으면 구역이 난다[직지].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단방(單方)/꿈 73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옆구리(脇)] 암내[腋臭] 730
[황달(黃疸)] 돌림병으로 생긴 황달[疫?發黃] 730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전음(前陰)] 산증의 원인[疝病之因] 729
[손(手)] 심이 허하여 손이 떨리는 것[心虛手振] 728
[허로(虛勞)] 7상증(七傷證) 728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내상(內傷)] 내상병 때 비위가 허하고 실한 것[內傷病脾胃虛實]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물고기(魚部)] 하돈(河?, 복어) 727
[담음(痰飮)] 침뜸치료[鍼灸法]/담음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짝이 있다[臟腑有合] 726
[내상(內傷)] 술독은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酒毒變爲諸病] 726
[내상(內傷)] 오농(懊?) 726
[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726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벌레(蟲部)] 저계(樗鷄) 726
[전음(前陰)] 수산에 쓰는 약[水疝藥] 725
[채소(菜部)] 임자(荏子, 들깨) 임자엽(荏子葉, 들깨잎) 725
[혈(血)] 외상(다친 상처)으로 피가 나오는 것[傷損失血] 724
[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724
[허리(腰)] 도인법(導仁法)/허리 724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습(濕)] 단방(單方) 724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부인(婦人)] 성생활에서 삼가해야 할 것[陰陽交合避忌] 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