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병(審病)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503 추천 수 0
◎ 凡病晝夜輕重 ○ 凡病晝則增劇夜則安靜是陽病有餘乃氣病而血不病也夜則增劇晝則安靜是陰病有餘乃血病而氣不病也[東垣] ○ 晝則發熱夜則安靜是陽氣自旺於陽分也夜則惡寒晝則安靜是陰血自旺於陰分也[東垣] ○ 晝則安靜夜則發熱煩躁是陽氣下陷入陰中也名曰熱入血室夜則安靜晝則惡寒是陰氣上溢於陽中也[東垣] ○ 晝則發熱煩燥夜亦發熱煩躁是重陽無陰當?瀉其陽峻補其陰夜則惡寒晝亦惡寒是重陰無陽當?瀉其陰峻補其陽[東垣] ○ 晝則惡寒夜則煩燥飮食不入名曰陰陽交錯者死[東垣]

☞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 병이 낮에 중해졌다가 밤에 안정되는 것은 심한 양병(陽病)이다. 이것은 기(氣)가 병든 것이지 혈(血)이 병든 것은 아니다. 밤에 중해졌다가 낮에 안정되는 것은 심한 음병(陰病)이다. 이것은 혈이 병든 것이지 기가 병든 것은 아니다[동원]. ○ 낮에 열이 나다가 밤이 되면 안정되는 것은 양기(陽氣)가 양분(陽分)에서 성해진[旺] 것이다. 밤에 오한이 나다가 낮에 안정되는 것은 음혈(陰血)이 음분(陰分)에서 성해진 것이다[동원]. ○ 낮에는 안정되었다가 밤에 열이 나면서 답답해 날치는 것은[煩躁] 양기가 아래로 내려가서 음부분에 들어간 것이다. 이런 것을 보고 열이 혈실(血室)에 들어갔다고 한다. 밤에 안정되었다가 낮에 오한이 나는 것은 양부분에 음기가 들어간 것이다[동원]. ○ 낮에도 열이 나면서 번조(煩躁)하고 밤에도 열이 나면서 번조한 것은 양이 극성해지고 음이 없어진 것이다. 이때에는 빨리 양을 사(瀉)하고 음을 보[峻補]해야 한다. 밤에도 오한이 나고 낮에도 오한이 나는 것은 음이 극성해지고 양이 없어진 것이다. 이때에는 빨리 음을 사하고 양을 보해야 한다[동원]. ○ 낮에는 오한(惡寒)이 나고 밤에는 번조하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음양교착(陰陽交錯)이라고 하는데 위험한 것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근(筋)] 힘줄이 땅기거나 늘어지는 것[筋急筋緩] 748
[근(筋)] 근위(筋?) 551
[근(筋)] 힘줄에 경련이 이는 것[筋?] 612
[근(筋)] 힘줄과 살이 푸들거리는 것[筋?肉?] 482
[근(筋)] 전근(轉筋, 쥐가 나는 것) 819
[근(筋)] 힘줄이 상한 것[筋傷證] 534
[근(筋)] 힘줄병 때 겉에 나타나는 증후[筋病外證] 475
[근(筋)] 근절(筋絶)의 증후[筋絶證] 466
[근(筋)] 힘줄을 펴는 법[舒筋法] 522
[근(筋)] 단방(單方)/힘줄 537
[근(筋)] 침뜸치료[鍼灸法]/힘줄 470
[골(骨)] 뼈는 신에 속한다[骨屬腎] 539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골(骨)] 등뼈의 수[脊骨有數] 526
[골(骨)] 광대뼈는 뼈의 근본이 된다[ 爲骨本] 528
[골(骨)] 뼈가 시린 것[骨寒] 835
[골(骨)] 뼈가 다는 것[骨熱] 574
[골(骨)] 골위(骨?) 684
[골(骨)] 뼈가 아픈 것[骨痛] 1040
[골(骨)] 뼈가 상한 증[骨傷證] 720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골(骨)] 뼈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骨絶證] 540
[골(骨)] 단방(單方)/뼈 694
[골(骨)] 침뜸치료[鍼灸法]/뼈 529
[손(手)] 팔의 부위별 치수[手部度數] 554
[손(手)] 팔에는 어깻죽지, 팔죽지, 팔굽, 팔뚝, 손목이 포함된다[手領肩 臂腕] 702
[손(手)] 손가락에는 각각 이름이 있다[手五指有名] 532
[손(手)] 팔다리는 모든 양의 근본이 된다[四肢爲諸陽之本] 671
[손(手)] 손바닥을 보고 위의 상태를 알 수 있다[手掌以候胃] 709
[손(手)] 팔다리가 다는 것[四肢熱]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