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359 추천 수 0
◎ 五脈應象 ○ 肝脈弦心脈鉤脾脈代肺脈毛腎脈石是謂五藏之脈[內經]

☞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 간맥은 현(弦)하고 심맥은 구(鉤)하며 비맥은 대(代)하고 폐맥은 모(毛)하며 신맥은 석(石)하다. 이것이 5장(五臟)의 맥이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양련추석법(陽煉秋石法) 365
[벌레(蟲部)] 회충(?蟲) 365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362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눈(眼)] 흑화예(黑花瞖) 361
[한(寒)] 번조의 뒷짐작[煩躁吉凶] 361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벌레(蟲部)] 합개(蛤?, 도마뱀) 360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제창(諸瘡)] 단방(單方)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벌레(蟲部)] 고충(蠱蟲) 359
[잡방(雜方)]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358
[새(禽部)] 자고(??, 자고새) 358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조리하는 방법과 금하는 것[調理及禁忌法] 357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벌레(蟲部)] 지주(蜘蛛, 말거미) 357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제창(諸瘡)] 어목창(魚目瘡) 355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눈(眼)] 혼정(混睛)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