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76 추천 수 0
◎ 天和六脈 ○ 內經曰必先歲氣毋伐天和註曰歲有六氣分主有南面北面之政先知此六氣所在人脈至尺寸應之太陰所在其脈沈少陰所在其脈鉤厥陰所在其脈弦太陽所在其脈大而長陽明所在其脈短而澁少陽所在其脈大而浮如是六脈則謂天和不識不知呼爲寒熱攻寒令熱脈不變而熱疾已生制熱令寒脈如故而寒病又起夭枉之來率由於此也[內經]

☞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 『내경』에 "반드시 그 해의 운기[氣]를 먼저 알아서 자연과 조화되게 하여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해마다 6기(六氣)가 있으며 각각 주관하는 곳이 있어서 남면(南面)과 북면(北面)의 작용이 있다"고 씌어 있다. 먼저 이 6기가 사람의 맥에 와서 척(尺), 촌(寸)에 반응된 것을 알아야 한다. 태음(太陰)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침(沈)하고 소음(少陰)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구(鉤)하며 궐음(厥陰)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현(弦)하고 태양(太陽)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대(大)하면서 장(長)하고 양명(陽明)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단(短)하면서 삽(澁)하고 소양(少陽)에 해당되는 곳의 맥은 대(大)하면서 부(浮)하다.이 6가지 주되는 맥은 자연과 조화한다. 이런 이치를 알지 못하고 한증이 다 열증이라고 하면서 한증을 치료하려고 덥게[熱] 하면 맥은 변하지 않으나 열증이 생기고 열을 억제하려고 차게 하면 맥은 정상으로 되나 한증(寒證)이 생긴다. 잘못 치료하여 죽게 하는 것은 다 이렇게 되어 생긴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6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6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5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1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2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소아(小兒)]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40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62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