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20 추천 수 0
◎ 脈當有神 ○ 脈之不病其神不言當自有也脈之旣病當求其神之有與無焉謂如六數七極熱也脈中有力卽有神也三遲二敗寒也脈中有力卽有神也熱而有神當泄其熱則神在焉寒而有神當去其寒則神在焉寒熱之脈無力無神將何藥而泄熱去寒乎苟不知此而遽泄去之將何依以生所以十亡八九矣[海藏] ○ 氣血食積痰飮一有留滯於其間脈必因之而止節矣但當求其有神何害之有夫有神者卽經所謂有中氣也卽脈有力也[樞要]

☞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 병이 없을 때에는 맥이 자연히 생기[神]가 있다. 그러므로 더 말할 것이 없다. 그러나 병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맥이 생기가 있는가 없는가를 보아야 한다. 예를 들면 한번 숨쉴 동안에 여섯번 뛰는 것이 삭(數)맥이고 일곱번 뛰는 것은 극(極)맥인데 이것은 열(熱)증맥이다. 이런 맥이 힘이 있으면 생기가 있는 것이다. 한번 숨쉴 동안에 세번 뛰는 것이 지(遲)맥이고 두번 뛰는 것은 패(敗)맥인데 이것은 한(寒)증맥이다. 이런 맥이 힘이 있으면 생기가 있는 것이다. 열증(熱證) 때 맥이 생기가 있으면 열을 내리게 하여도 생기가 남아 있을 것이고 한증(寒證)때 맥이 생기가 있으면 한(寒)을 없어지게 해도 생기가 남아 있을 것이다. 한증이나 열증 때 맥이 힘이 없는 것은 생기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어떻게 약을 써서 열이나 한을 없앨 수 있겠는가. 이런 것은 알지 못하고 열을 내리게 하거나 한을 없애기만 하면 무슨 힘이 있어서 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10명 중 8-9명은 죽는다[해장]. ○ 기혈(氣血)이나 식적(食積)이나 담음(痰飮)에서 1가지라도 남아 있게 되면 반드시 맥(脈)이 조절되지 못한다. 생기가 있는 것만 찾아서 치료하면 어찌 해를 입겠는가. 생기가 있다는 것은 바로 『내경』에 중기(中氣)㈜가 있다고 씌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맥이 힘이 있다는 것이다[추요]. 

[註] 중기(中氣) : 속에 있는 정기 즉 몸의 기운을 말한다. 비위의 기운을 중기라고도 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맥(診脈)] 남정과 북정의맥[南北政脈] 412
[진맥(診脈)] 이경맥(離經脈) 415
[진맥(診脈)] 손맥과 지맥[損至脈] 636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
[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477
[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520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변증(辨證)]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362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변증(辨證)]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537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변증(辨證)] 남자와 여자 병의 원인[男女病因] 543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변증(辨證)]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凡病有形無形]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