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77 추천 수 0
◎ 脈以胃氣爲本 ○ 胃氣者中氣也不大不細不長不短不浮不沈不滑不?應手?和難以名狀者爲胃氣有胃氣則有力有力則有神無胃氣則無力無力則無神有神則生無神則死[入門] ○ 人以水穀爲本故人絶水穀則死脈無胃氣亦死所謂無胃氣者但得眞藏脈不得胃氣也[內經]

☞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 위기(胃氣)는 중기(中氣)이므로 대(大)하지도 않고 세(細)하지도 않으며 장(長)하지도 않고 단(短)하지도 않으며 부(浮)하지도 않고 침(沈)하지도 않으며 활(滑)하지도 않고 색(?)하지도 않아서 손에 닿는 맛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이 잘 조화된 것을 위기라고 한다. 위기가 있으면 힘이 있고 힘이 있으면 생기[神]가 있다. 위기(胃氣)가 없으면 힘이 없고 힘이 없으면 생기가 없다. 생기가 있으면 살고 생기가 없으면 죽는다[입문]. ○ 사람에게는 음식물이 기본이므로 음식을 먹지 못하면 죽는데 위기(胃氣)가 없어도 죽는다. 위기가 없다는 것은 진장맥(眞藏脈)만 나타나서 위기(胃氣)를 볼 수 없다는 뜻이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황달(黃疸)] 황한(黃汗) 718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7
[입과 혀(口舌)] 입술과 혀를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唇舌占病] 717
[부인(婦人)]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717
[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716
[젖(乳)] 남자와 여자의 젖몸에 생긴 병은 같지 않다[男女乳疾不同] 715
[내상(內傷)] 열격과 반위[?膈反胃] 715
[소아(小兒)] 장열(壯熱) 715
[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714
[귀(耳)] 단방(單方)/귀 714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새(禽部)] 순육(?肉, 메추리 고기) 714
[채소(菜部)] 해채(海菜, 미역) 71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머리털(毛髮)] 머리털은 혈의 나머지이다[髮者血之餘] 713
[내상(內傷)] 식적은 상한과 비슷하다[食積類傷寒] 713
[사수(邪崇)] 방예하는 방법[禳法] 713
[흙(土部)] 토봉과상토(土蜂?上土, 땅벌집 위의 흙) 713
[침구(針灸)] 수태음폐경의 순행[手太陰肺經流注] 712
[창만(脹滿)] 곡창(穀脹) 치료법 712
[새(禽部)] 백구육(白鷗肉, 갈매기고기) 712
[목소리(聲音)] 상한호혹증에 벙어리가 되는 것[傷寒狐惑聲?] 711
[언어(言語)] 트림[噫] 711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
[한(寒)]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711
[한(寒)]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