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34 추천 수 0
◎ 脈從病反 ○ 黃帝曰脈從而病反者其診何如岐伯曰脈至而從按之不鼓諸陽皆然註曰病熱而脈數按之不動乃寒盛格陽而致之非熱也 ○ 帝曰諸陰之反其脈何如岐伯曰脈至而從按之鼓甚而盛也註曰形證是寒按之而脈氣鼓擊於指下盛者此謂熱盛拒陰而生病非寒也[內經]

☞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 황제(黃帝)가 "맥(脈)과 병증상[病]이 반대되는 것은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맥과 증상이 일치되다가도 힘주어 눌러 보면 맥이 세게 뛰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데 모든 양증 때 다 그렇다"고 대답하였다. 주해에 "병으로 열이 나면서 맥이 삭(數)하다가도 힘주어 눌러 보면 세게 뛰지 못하는 것은 한성격양(寒盛格陽)으로 생기는 것이지 열증(熱證)은 아니다"고 씌어 있다. ○ 황제가 "여러 가지 음증(陰證) 때 맥이 반대로 나타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증(陰證) 때 맥도 음맥이 나타나다가 힘주어 눌러 보면 세게 뛰면서 성(盛)해지는 것을 말한다"고 대답하였다. 주해에 "병의 형과 증상을 보면 한증(寒證)인데 힘주어 눌러 봐도 맥이 힘있게 뛰면서 성한 것은 열성거음(熱盛拒陰)으로 생기는 것이지 한증은 아니다"고 씌어 있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용약(用藥)] 자연과 조화되는 것이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毋伐天和] 435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용약(用藥)] 병이 급할 때에는 표를 치료하고 완만할 때에는 본을 치료해야 한다[急則治標緩則治本] 407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581
[용약(用藥)] 표본을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標本分治歌] 492
[용약(用藥)] 수와 화를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水火分治歌] 627
[용약(用藥)] 약을 쓰는 대체적 방법[用藥大體] 533
[용약(用藥)] 형기(形氣)의 상태에 따라 보(補)하거나 사(瀉)해야 한다[形氣用補瀉] 587
[용약(用藥)] 최근의 의학이론에 대하여[近世論醫] 504
[진맥(診脈)] 10가지 이상한 맥[十怪脈] 628
[진맥(診脈)] 죽을 수 있는 것을 예견하는 여러 가지 맥[諸死脈] 485
[진맥(診脈)] 모든 맥에 따르는 병증[諸脈病證] 512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0
[진맥(診脈)]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485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진맥(診脈)]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4
[진맥(診脈)] 촌구맥이 평하면 죽을 수 있다[寸口脈平猶死] 861
[진맥(診脈)] 맥이 대(大)한 것은 병이 진행되는 것이다[脈大病進] 430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7
[진맥(診脈)] 청고무맥(淸高無脈) 442
[진맥(診脈)] 호맥(互脈) 510
[진맥(診脈)] 잔적맥(殘賊脈) 400
[진맥(診脈)] 음맥과 양맥[陰陽脈] 735
[진맥(診脈)] 색, 촉, 결, 대, 맥은 다 도중에 멎는 맥이다[?促結代脈皆中止] 494
[진맥(診脈)] 지대맥으로 죽는 시기를 알 수 있다[止代脈定死期]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