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85 추천 수 0
◎ 肥瘦長短異脈 ○ 凡脈肥人責浮瘦人責沈肥人當沈今反浮瘦人當浮今反沈故責之盖肥人肌膚厚故脈沈瘦人肌膚薄故脈浮[仲景] ○ 肥人肉厚脈宜沈結瘦人肉薄脈宜浮長[入門] ○ 人形短脈亦短形長脈亦長反此則凶[入門] ○ 人性緩脈亦緩性急脈亦急反則病[正傳]

☞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 살이 찐 사람은 맥이 부(浮)한 것이 잘못된 것이고 여윈 사람은 맥이 침(沈)한 것이 잘못된 것이다. 살이 찐 사람은 맥이 침해야 하는데 도리어 부하거나 여윈 사람은 맥이 부해야 하는데 도리어 침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살이 찐 사람은 피부가 두텁기 때문에 맥이 침하고 여윈 사람은 피부가 얇기 때문에 맥이 부하다[중경]. ○ 살이 찐 사람은 맥이 침하면서 결(結)해야 하고 여윈 사람은 맥이 부(浮)하면서 장(長)해야 한다[입문]. ○ 키가 작으면 맥이 단(短)해야 하고 키가 크면 맥이 장(長)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나쁘다[입문]. ○ 성미가 누그러졌으면 맥도 느리고 성미가 급(急)하면 맥도 급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병이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