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맥(診脈)

10가지 이상한 맥[十怪脈]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628 추천 수 0
◎ 十怪脈 ○ 者一曰釜沸二曰魚翔三曰彈石四曰解索五曰屋漏六曰鰕遊七曰雀啄八曰偃刀九曰轉豆十曰麻促[得效]

☞ 10가지 이상한 맥[十怪脈]

 ○ 첫번째는 부비(釜沸), 두번째는 어상(魚翔), 세번째는 탄석(彈石), 네번째는 해색(解索), 다섯번째는 옥루(屋漏), 여섯번째는 하유(鰕遊), 일곱번째는 작탁(雀啄), 여덟번째는 언도(偃刀), 아홉번째는 전두(轉豆), 열번째는 마촉(麻促) 등 이 10가지가 이상한 맥이다[득효]. 

? 釜沸 ○ 脈在皮肉有出無入如湯涌沸息數俱無乃三陽數極無陰之候朝見夕死夕見朝死[得效]
☞ 부비맥[釜沸] ○ 맥이 피부[皮]와 살[肉] 사이에서 뛰는데 오는 것[出]은 힘이 있고 가는 것[入]은 힘이 없으면서 물이 끓어오르는 것처럼 쉴사이 없이 뛰는 맥이다. 이것은 3양(三陽)이 극도에 달하고 음(陰)이 없어진 증후이다. 이런 증후가 아침에 나타나면 저녁에 죽을 수 있고 저녁에 나타나면 아침에 죽을 수 있다[득효]. 

? 魚翔 ○ 脈在皮膚頭定而尾搖浮浮泛泛三陰數極又曰亡陽當以死斷 ○ 魚翔脈似有似無[得效]
☞ 어상맥[魚翔] ○ 맥이 피부 밑에서 뛰는데 마치 물고기가 대가리는 움직이지 않고 꼬리만 살랑살랑 흔드는 것같이 뛰는 맥이다. 이것은 3음(三陰)이 극도에 달한 것인데 망양(亡陽)이 된 것이라고 한다. 이런 맥이 나타나면 죽을 수 있다. ○ 어상맥이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한 맥이다[득효]. 

? 彈石 ○ 脈在筋肉間??湊指急促而堅乃腎經眞藏脈見遇戊己日則不治 ○ 彈石硬來尋卽散[得效]
☞ 탄석맥[彈石] ○ 맥이 힘줄과 살 사이에서 뛰면서 딱딱하게 손 끝에 마주치고 촉급하며 굳은 것이다. 이것은 신경의 진장맥(眞藏脈)인데 무기일(戊己日)에 나타나면 치료하지 못한다. ○ 탄석맥이란 올 때[來]에는 딴딴하고 누르면 곧 흩어지는 맥이다[득효]. 

? 解索 ○ 脈如解亂繩之狀散散無序腎與命門之氣皆亡戊己日篤辰巳日不治[得效]
☞ 해색맥[解索] ○ 노끈을 풀어 놓은 것같이 산산이 흩어지는 무질서한 맥이다. 이것은 신(腎)과 명문(命門)의 기가 다 없어진 맥이다. 이런 맥이 무기일(戊己日)에 나타나면 위급하고 진사일(辰巳日)에 나타나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屋漏 ○ 脈在筋肉間如殘雷之下良久一滴?起無力 ○ 如水滴?地貌胃氣榮衛俱絶七八日死[得效]
☞ 옥루맥[屋漏] ○ 맥이 힘줄과 살 사이에서 뛰는데 처마에 빗물이 한참 동안 매달려 있다가 한방울씩 떨어지는 것처럼 얼마 만큼씩 있다가 힘없이 뛰는 맥이다. ○ 옥루맥이란 물방울이 땅에 떨어지는 모양처럼 뛰는 맥인데 이것은 위기(胃氣)와 영위(榮衛)가 다 끊어진 맥이므로 7-8일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 鰕遊 ○ 脈在皮膚如鰕遊水面杳然不見須臾又來隱隱然不動依前又去醒者七日死困者三日死[得效]
☞ 하유맥[鰕遊] ○ 맥이 피부 밑에서 뛰는데 새우가 물 위에서 노는 것처럼 뛰는 맥이다. 이 맥은 알리지 않다가[杳然不見] 좀 지나면 잘 알리지 않게 은은히 한번 뛰고는 또 먼저와 같은 모양으로 알리지 않는 맥이다. 이런 맥이 나타날 때 정신이 있는 사람은 7일 만에 죽을 수 있고 정신이 어리둥절해진 사람은 3일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 雀啄 ○ 脈在筋肉間連連湊指忽然?無如雀啄食之狀盖來三而去一也脾元穀氣已絶於內醒者十二日死困者六七日亡[得效]
☞ 작탁맥[雀啄] ○ 맥이 힘살 사이에서 뛰는데 연이어 손 끝에 마주치다가 갑자기 멎는 것이 마치 참새가 모이를 쫓는 모양과 같고 대체로 세번 뛰고는 한번씩 멎는 맥이다. 이것은 비위[脾元]에 곡기(穀氣)가 이미 없어진 맥이다. 이런 맥이 나타날 때 정신이 있는 사람은 12일 만에 죽을 수 있고 정신이 어리둥절한 사람은 6-7일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 偃刀 ○ 脈如手循刀刃無進無退其數無准由心元血枯衛氣獨居無所歸宿見之四日難療[得效]
☞ 언도맥[偃刀] ○ 맥이 손으로 칼날을 만지는 것같아서 오는 것[進]도 알리지 않고 가는 것[退]도 알리지 않으며 그 수도 셀 수 없는 맥이다. 이것은 심장에 피가 몹시 줄어들고 위기(衛氣)만 남아 있으면서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맥이다. 이런 맥이 나타나면 4일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 轉豆 ○ 脈形如豆周旋展轉?無息數藏府空虛正氣飄散象曰行尸其死可立待也[得效]
☞ 전두맥[轉豆] ○ 맥이 마치 콩알이 굴러가는 것처럼 쉴사이 없이 뛰는 맥이다. 이것은 장부(藏府)가 허(虛)하고 정기(正氣)가 흩어지기 때문에 생긴 맥이다. 이런 맥을 행시(行尸)맥이라고 하는데 당장 죽을 수 있다[득효]. 

? 麻促 ○ 脈如麻子之紛亂細微至甚盖衛枯榮血獨澁輕者三日死重者一日?矣[得效]
☞ 마촉맥[麻促] ○ 맥이 삼씨가 널려져 있는 것같이 알리면서[紛亂] 몹시 미세한 맥이다. 이것은 위기가 줄어들고 영혈(榮血)만 남아서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맥인데 경(輕)하면 3일 만에 죽을 수 있고 중(重)하면 하루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9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