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형기(形氣)의 상태에 따라 보(補)하거나 사(瀉)해야 한다[形氣用補瀉]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87 추천 수 0
◎ 形氣用補瀉 ○ 靈樞曰形氣不足病氣有餘是邪勝也急當瀉之形氣有餘病氣不足急當補之形氣不足病氣不足此陰陽俱不足也不可刺之刺之則重不足重不足則陰陽俱竭血氣皆盡五藏空虛筋骨髓枯老者絶滅壯者不復矣形氣有餘病氣有餘此謂陰陽俱有餘也急瀉其邪調其虛實 ○ 夫疾病之生也皆因外感內傷生火生濕濕而生熱火而生痰四者而已審其爲少壯新病是濕則燥之是火則瀉之是濕而生熱則燥濕而兼淸熱是火而生痰則瀉火而兼豁痰無餘蘊矣審其爲老衰久病又當半攻半補焉故曰少壯新病攻邪爲主老衰久疾補虛爲先[丹心]

☞ 형기(形氣)의 상태에 따라 보(補)하거나 사(瀉)해야 한다[形氣用補瀉]

 ○ 『영추』에 "형기(形氣)가 약하고 병 기운이 심한 것은 사기(邪氣)가 성한[勝] 것이기 때문에 빨리 사(瀉)해야 하며 형기가 든든하고 병 기운이 약하면 빨리 보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형기가 약하고 병 기운도 약한 것은 음양이 다 부족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 침을 놓으면 더 부족해져서 음양(陰陽)이 다 고갈되고 혈기(血氣)가 다 없어지기 때문에 5장(五臟)이 더 허해지고 따라서 힘살과 뼈가 마르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늙은이는 죽을 수 있고 건장한 사람도 빨리 회복되지는 못할 것이다. 형기가 든든하고 병 기운도 센 것은 음양이 다 실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빨리 사기를 사(瀉)하고 허실(虛實)을 조화시켜야 한다. ○ 병의 원인은 다 외감(外感), 내상(內傷), 화(火), 습(濕)이다. 습으로는 열이 생기고 화로는 담(痰)이 생긴다. 그러므로 병의 원인은 이 4가지뿐이다. 환자가 젊은이인가 갓 생긴 병인가를 살펴보아야 하며 습이 있으면 마르게 하고 화가 있으면 사(瀉)해야 한다. 습으로 생긴 열이면 습을 마르게 하면서 겸하여 열을 내려야 한다. 화로 생긴 담이면 화를 사하면서 겸해서 담을 삭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더할 것이 없다. 환자가 늙은이거나 오랜 병이면 반드시 치는 것[攻]과 보하는 것[補]을 절반씩 해야 한다. 그러므로 환자가 젊은 사람인 때와 갓 생긴 병 때에는 사기를 치는 것을 위주로 하고 늙은이거나 오랜 병 때에는 허한 것을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해독(解毒)] 행인중독[杏仁毒] 586
[해독(解毒)] 산초중독[川椒毒] 930
[해독(解毒)] 복어중독[河?毒] 785
[해독(解毒)] 버섯중독[菌?毒] 692
[해독(解毒)] 신석중독[砒?毒] 785
[해독(解毒)] 여러 가지 중독을 푸는 방법[救諸中毒方] 634
[해독(解毒)] 고독을 두루 치료하는 단방[通治單方] 606
[해독(解毒)] 고독 때 설사하게 하는 약[下蠱藥] 874
[해독(解毒)] 고독 때 토하게 하는 약[吐蠱藥] 641
[해독(解毒)] 뜸치료[灸法] 557
[해독(解毒)] 꺼릴 것[禁忌法] 562
[해독(解毒)] 도생독(挑生毒) 843
[해독(解毒)] 금잠고독[金蠶蠱毒] 949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해독(解毒)] 고독을 빼내는 방법[送蠱法] 633
[해독(解毒)] 고독이나 약에 중독된 때의 맥[蠱毒中毒脈候] 611
[해독(解毒)] 고독이 있는가 없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蠱毒法] 593
[해독(解毒)] 고독을 막는 방법 603
[해독(解毒)] 고독을 만드는 집[蠱毒畜養家] 790
[제상(諸傷)] 뜸치료[灸法] 493
[제상(諸傷)]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472
[제상(諸傷)]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벌레한테 상한 것[雜色蟲傷] 552
[제상(諸傷)] 여름에 생긴 모든 헌데에 파리와 구더기가 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夏月諸瘡傷?蠅?法] 494
[제상(諸傷)] 납거미한테 물린 것[壁鏡傷] 406
[제상(諸傷)] 도루래한테 물린 것[??傷] 433
[제상(諸傷)] 달팽이한테 상한 것[蝸牛傷] 426
[제상(諸傷)]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381
[제상(諸傷)] 벌한테 쏘인 것[蜂?傷] 479
[제상(諸傷)] 그리마한테 상한 것[??傷] 454
[제상(諸傷)] 지렁이한테 상한 것[?蚓傷]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