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81 추천 수 0
◎ 治病必求於本 ○ 夫治病者當知標本以身論之則外爲標內爲本陽爲標陰爲本故六府屬陽爲標五藏屬陰爲本各藏府之經絡在外爲標在內爲本更人身之氣爲標血爲本以病論之先受病爲本後傳流病爲標凡治病者必先治其本後治其標若先治其標後治其本則邪氣滋甚其病益蓄若先治其本後治其標則雖病有十數證皆去矣謂如先生輕病後滋生重病亦先治輕病後治重病如是則邪氣乃伏盖先治本故也若有中滿無問標本先治中滿謂其急也若中滿後有大小便不利亦無問標本先治大小便次治中滿謂尤急也除大小便不利及中滿三者之外其餘皆先治其本不可不愼也[入門]

☞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표(標)와 본(本)을 알아야 한다. 몸에서 겉[外]은 표가 되고 속[內]은 본이 된다. 양(陽)은 표이고 음(陰)이 본이다. 그러므로 6부(六府)는 양이기 때문에 표가 되고 5장(五臟)은 음이기 때문에 본이 된다. 각 장부(藏府)의 경락(經絡)에서 겉으로 있는 것은 표가 되고 속으로 있는 것은 본이 된다. 또한 몸에서 기(氣)는 표가 되고 혈(血)은 본이 된다. 병에서는 먼저 생긴 것이 본이 되고 후에 생긴 것이 표가 된다. 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본을 치료한 다음 표를 치료해야 한다. 만일 표(標)를 먼저 치료하고 후에 본(本)을 치료하면 사기(邪氣)가 더 왕성해지면서 병이 더 심해진다. 그러나 먼저 본(本)을 치료하고 후에 표를 치료하면 비록 수십 가지 증상이 있다가도 다 없어진다. 그리고 먼저 경한 병이 생기고 후에 중한 병이 생겼을 때에는 먼저 경한 병을 치료하고 후에 중한 병을 치료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기는 저절로 없어질 것이다. 그것은 본을 먼저 치료했기 때문이다. 뱃속이 그득할 때에는 표본(標本)을 가리지 말고 먼저 속이 그득한 것부터 빨리 치료해야 한다. 뱃속이 그득해진 다음부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표본을 가리지 말고 먼저 대소변이 나오도록 치료하고 후에 뱃속이 그득한 것을 치료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더 급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변과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뱃속이 그득한 이 3가지 병 이외에는 그 어떤 병이거나를 막론하고 다 먼저 본을 치료하는 데 주의를 돌려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털(毛髮)] 머리는 자주 빗어야 한다[髮宜多櫛] 526
[머리털(毛髮)] 머리털을 보고 예후가 나쁜 증을 알 수 있다[髮占凶證] 589
[머리털(毛髮)] 단방(單方)/모발 809
[전음(前陰)] 전음은 종근에 속한다[前陰屬宗筋] 632
[전음(前陰)]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595
[전음(前陰)] 산증의 원인[疝病之因] 729
[전음(前陰)] 맥 보는 법[脈法]/전음 587
[전음(前陰)] 산증은 주로 간이 주관한다[疝專主肝] 625
[전음(前陰)] 산증에는 7가지가 있다[疝病有七] 642
[전음(前陰)] 한산(寒疝) 548
[전음(前陰)] 수산(水疝) 513
[전음(前陰)] 근산(筋疝) 505
[전음(前陰)] 혈산(血疝) 645
[전음(前陰)] 기산(氣疝) 571
[전음(前陰)] 호산(狐疝) 555
[전음(前陰)] 퇴산(?疝) 823
[전음(前陰)] 산증의 증상[疝病證候] 1151
[전음(前陰)] 여러 가지 산증을 치료하는 방법[諸疝治法] 802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전음(前陰)] 수산에 쓰는 약[水疝藥] 725
[전음(前陰)] 근산에 쓰는 약[筋疝藥] 909
[전음(前陰)]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689
[전음(前陰)] 기산에 쓰는 약[氣疝藥] 615
[전음(前陰)] 호산(狐疝)에 쓰는 약[狐疝藥] 742
[전음(前陰)] 퇴산에 쓰는 약[?疝藥] 1149
[전음(前陰)] 한쪽 고환이 커져서 내려 처진 것[陰卵偏墜] 1134
[전음(前陰)] 목신(木腎) 604
[전음(前陰)] 분돈산기(奔豚疝氣) 1328
[전음(前陰)]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陰縱陰縮] 928
[전음(前陰)] 탈양증(脫陽證)/전음 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