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84 추천 수 0
◎ 用藥大法 ○ 大法春宜吐夏宜汗秋宜下冬宜溫及炙[仲景]

☞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 봄에는 토하게 하고 여름에는 땀을 내야 하고 가을에는 설사를 하게 하고 겨울에는 성질이 더운약을 쓰면서 뜸을 떠야 한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고기(魚部)] 팔초어(八梢魚, 문어) 711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구급(救急)] 가위눌린 것(鬼?) 710
[부인(婦人)]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喘嗽] 710
[물고기(魚部)] 해돈(海?, 곱등어) 710
[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피부(皮)] 피부와 털은 폐에 속한다[皮毛屬肺] 709
[손(手)] 손바닥을 보고 위의 상태를 알 수 있다[手掌以候胃] 709
[구급(救急)] 객오와 졸궐의 여러 가지 증상[客?卒厥諸證] 709
[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709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손(手)] 손톱을 보고 병을 알 수 있다[手瓜占病] 708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에는 먼저 피를 고르게 해야 한다[金瘡先宜調血] 708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707
[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707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잔등(背)]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706
[한(寒)] 백합증(百合證) 706
[화(火)] 화를 억제하는데 방법이 있다[制火有方] 706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물(水部)]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706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705
[언어(言語)] 웃음[笑] 705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