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02 추천 수 0
◎ 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 時禁 ○ 時禁者必本四時昇降之理汗下吐利之宜升降浮沈則順之寒熱溫凉則逆之謂春氣溫而宜凉藥夏氣熱而宜寒藥秋氣凉而宜溫藥冬氣寒而宜熱藥病在上而宜升病在下而宜降病在外而宜汗病在內而宜下[東垣] ○ 春宜吐象萬物之發生使陽氣之鬱者易達也夏宜汗象萬物之浮而有餘也秋宜下象萬物之收成推陳致新也冬宜周密象萬物之閉藏使陽氣不動也[東垣]

☞ 시금(時禁) ○ 시금이란 4철의 오르내리는 이치[升降之理]에 따라 땀을 내고 설사를 시키고 토하게 하고 오줌을 누게 하는 것을 알맞게 하는 것을 말한다. 오르내리게 하고 뜨게 하고 가라앉게 하는 것은 종치[順]하는 것이고 차게 하거나 덥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거나 서늘하게 하는 것은 역치[逆]하는 것이다. 즉 봄 기운은 온화하므로 이때에는 성질이 서늘한 약을 써야 하고 여름 기운은 더우므로 이때에는 성질이 찬약을 써야 하며 가을 기운은 서늘하므로 이때에는 성질이 더운약을 써야 하고 겨울 기운은 차므로 이때에는 성질이 더운약을 써야 하며 병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병이 하초(下焦)에 있으면 설사시키고 병이 겉에 있으면 땀을 내고 병이 속에 있으면 설사시키는 것이다[동원]. ○ 봄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 왜냐하면 만물이 생기는 것을 본받아 양기(陽氣)가 울체[鬱]된 것을 쉽게 풀리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땀을 내는 것이 적당하다. 왜냐하면 이때에는 만물이 자라 실(實)해지기 때문이다.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그것은 만물을 걷어들이는 것을 본받아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것을 생기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겨울에는 든든하게 간직하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것은 만물이 저장하는 것을 본받아 양기(陽氣)가 동(動)하지 않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동원]. 

◈ 經禁 ○ 者足太陽膀胱經爲諸陽之首行身之後風寒所傷則宜汗傳入本則宜利小便若下之太早則變證百出此一禁也 ○ 足陽明胃經行身之前病主腹脹滿大便難宜下之若發汗利小便爲重損津液此二禁也 ○ 足少陽膽經行身之側病往來寒熱口苦胸脇痛只宜和解且膽者無出入道下則犯太陽汗則犯陽明利小便則使生發之氣反陷入陰中此三禁也[東垣]

☞ 경금(經禁)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은 모든 양(陽)에서 첫째인데 몸의 뒤[身之後]로 지나간다. 여기가 풍한(風寒)에 상(傷)했을 때에는 땀을 내야 하고 병이 방광(膀胱)에 올라갔을 때에는 오줌이 나가도록 해야 한다. 만일 너무 일찍이 설사시키면 여러 가지 증상이 생긴다. 그러니 이것이 첫째로 금해야 할 것이다.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은 몸의 앞[身之前]으로 지나가는데 여기에 병이 생기면 주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며 대변보기 힘들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 이때에는 땀을 내거나 오줌을 나가게 하면 진액(津液)이 몹시 줄어들게 된다. 그러니 이것이 둘째로 금해야 할 것이다.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은 몸의 옆[身之側]으로 지나가는데 여기에 병이 생기면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입이 쓰며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다. 이때에는 화해(和解)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담(膽)에는 드나드는 길이 없으므로 설사시키면 병이 태양(太陽)으로 침범해 가고 땀을 내면 양명(陽明)으로 침범해 가며 오줌을 나가게 하면 생겨나던 기운이 음(陰)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그러니 이것이 셋째로 금해야 할 것이다[동원]. 

◈ 病禁 ○ 者如陽氣不足陰氣有餘之病則凡飮食及藥忌助陰瀉陽[東垣]

☞ 병금(病禁) ○ 병금이란 양기(陽氣)가 부족하고 음기(陰氣)가 실(實)한 병 때 여러 가지 음식이나 약에서 음(陰)을 돕는 것과 양(陽)을 사(瀉)하는 것을 금하는 것을 말한다[동원]. 

◈ 藥禁 ○ 者如汗多禁利小便小便多禁發汗 ○ 咽痛禁發汗利小便[東垣]

☞ 약금(藥禁) ○ 약금이란 땀이 많이 나는 데는 오줌을 나가게 하는 약을 금해야 하고 오줌이 많이 나가는 데는 땀을 나게 하는 약을 금하는 것이다. ○ 목구멍이 아플 때에는 땀을 나게 하거나 오줌을 나가게 하는 약을 금해야 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765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1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2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8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9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3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7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9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9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0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1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4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8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