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71 추천 수 0
◎ 虛實補瀉 ○ 從前來者爲實邪從後來者爲虛邪此子能令母實母能令子虛是也治法曰虛則補其母實則瀉其子假令肝受心火之邪是從前來者爲實邪入肝經藥爲引用瀉心火藥爲君若肝受腎水之邪是從後來者爲虛邪以入腎經藥爲引用補肝經藥爲君是也[東垣]

☞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 아들격인 장기에서 받은 사기를 실사(實邪)라고 하고 어머니격인 장기에서 받은 사기를 허사(虛邪)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들격인 장기가 어머니격인 장기를 실(實)하게 할 수도 있고 어머니격인 장기가 아들격인 장기를 허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치료법은 허(虛)하면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補)하고 실하면 아들격인 장기를 사(瀉)하는 것이다. 가령 간(肝)이 심화(心火)의 사기(邪氣)를 받았다면 그것은 자기의 아들격인 장기에서 받은 것이므로 실사(實邪)이다. 이때에는 간경(肝經)으로 들어가는 약은 인경약[引用]으로 하고 심화를 사하는 약을 주약[君藥]으로 해야 한다. 만약 간이 신수(腎水)의 사기를 받았다면 그것은 어머니격인 장기에서 받은 것이므로 허사(虛邪)이다. 이때는 신경(腎經)으로 들어가는 약을 인경약으로 하고 간경(肝經)을 보하는 약을 주약으로 해야 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해독(解毒)] 행인중독[杏仁毒] 586
[해독(解毒)] 산초중독[川椒毒] 930
[해독(解毒)] 복어중독[河?毒] 785
[해독(解毒)] 버섯중독[菌?毒] 692
[해독(解毒)] 신석중독[砒?毒] 785
[해독(解毒)] 여러 가지 중독을 푸는 방법[救諸中毒方] 634
[해독(解毒)] 고독을 두루 치료하는 단방[通治單方] 606
[해독(解毒)] 고독 때 설사하게 하는 약[下蠱藥] 874
[해독(解毒)] 고독 때 토하게 하는 약[吐蠱藥] 641
[해독(解毒)] 뜸치료[灸法] 557
[해독(解毒)] 꺼릴 것[禁忌法] 562
[해독(解毒)] 도생독(挑生毒) 843
[해독(解毒)] 금잠고독[金蠶蠱毒] 949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해독(解毒)] 고독을 빼내는 방법[送蠱法] 633
[해독(解毒)] 고독이나 약에 중독된 때의 맥[蠱毒中毒脈候] 611
[해독(解毒)] 고독이 있는가 없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蠱毒法] 593
[해독(解毒)] 고독을 막는 방법 603
[해독(解毒)] 고독을 만드는 집[蠱毒畜養家] 790
[제상(諸傷)] 뜸치료[灸法] 493
[제상(諸傷)]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472
[제상(諸傷)]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벌레한테 상한 것[雜色蟲傷] 552
[제상(諸傷)] 여름에 생긴 모든 헌데에 파리와 구더기가 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夏月諸瘡傷?蠅?法] 494
[제상(諸傷)] 납거미한테 물린 것[壁鏡傷] 406
[제상(諸傷)] 도루래한테 물린 것[??傷] 433
[제상(諸傷)] 달팽이한테 상한 것[蝸牛傷] 426
[제상(諸傷)]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381
[제상(諸傷)] 벌한테 쏘인 것[蜂?傷] 479
[제상(諸傷)] 그리마한테 상한 것[??傷] 454
[제상(諸傷)] 지렁이한테 상한 것[?蚓傷]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