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397 추천 수 0
◎ 求屬之法 ○ 內經曰微者謂之其次平之盛者奪之汗之下之寒熱溫凉衰之以屬隨其攸利註曰假如小寒之氣溫以和之大寒之氣熱以取之甚寒之氣則下奪之奪之不已則逆折之折之不盡則求其屬以衰之小熱之氣凉以和之大熱之氣寒以取之甚熱之氣則汗發之發之不已則逆制之制之不盡則求其屬以衰之[東垣] ○ 求屬之法是同聲相應同氣相求經曰陷下者炙之夫衰熱之法同前所云火衰于戌金衰于辰之類是也[東垣]

☞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 『내경』에 "약[微]하면 조화시킨 다음 평형되게 하고 심[盛]하면 통하게 하거나 땀을 내거나 설사시켜야 한다. 찬가[寒], 더운가[熱], 따뜻한가[溫], 서늘한가[凉], 약한가[衰]에 따라 좋은 것을 택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가령 찬 기운이 약간 있으면 따뜻한 것으로 조화시키고 찬 기운이 심하면 더운 것으로 치료하며 찬 기운이 몹시 심하면 설사시켜서 없애 버려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逆]으로 내리눌러야 한다. 내리눌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 해야 한다. 더운 기운이 약간 있으면 서늘한 것[凉]으로 조화시키고 더운 기운이 심하면 찬 것으로 치료하고 더운 기운이 몹시 심하면 땀을 내서 헤쳐지게[發表] 해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으로 억제해야 한다. 억제하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衰]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동원]. ○ 소속을 찾아 치료한다는 것은 같은 것끼리 서로 응(應)하게 한다는 말이다. 『내경』에 "처져 내려갔으면 뜸을 뜨라"고 씌어 있다. 열(熱)을 약해지게 한다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화(火)는 술(戌)로 약해지게 하고 금(金)은 진(辰)으로 약해지게 한다는 것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707
[채소(菜部)] 호과(胡瓜, 오이) 호과엽(胡瓜葉, 오이잎)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719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854
[채소(菜部)] 개채(芥菜, 겨자와 갓) 788
[채소(菜部)] 와거(??, 상추) 829
[채소(菜部)] 고거(苦?) 467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채소(菜部)] 제채(薺菜, 냉이)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686
[채소(菜部)] 사삼(沙參, 더덕) 783
[채소(菜部)] 제니(薺?) 503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
[채소(菜部)] 총백(蔥白, 파밑) 총실(蔥實, 파씨) 총근(蔥根, 파뿌리) 총엽(蔥葉, 파잎) 총화(蔥花, 파꽃) 호총(胡蔥) 762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
[채소(菜部)] 구채(?菜, 부추) 844
[채소(菜部)] 해채(?菜, 염교) 1091
[채소(菜部)] 형개(荊芥) 587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1
[채소(菜部)] 향유(香?, 노야기) 479
[채소(菜部)] 박하(薄荷) 784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1
[채소(菜部)] 임자(荏子, 들깨) 임자엽(荏子葉, 들깨잎) 72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채소(菜部)] 궐채(蕨菜, 고사리) 571
[채소(菜部)] 목숙(??, 거여목) 617
[채소(菜部)] 양하(?荷)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