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1962 추천 수 0
◎ 肥瘦用藥 ○ 肥人氣虛多痰宜豁痰補氣瘦人血虛有火宜瀉火滋陰[入門] ○ 肥人補氣面白補氣[丹心] ○ 面白人不可多服發散藥以其氣虛而又虧之也面黑人不可多服黃?以其氣實而又補之也氣實人因服黃?過多而喘者三拗湯(方見咳嗽)以瀉之[丹心]

☞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 살이 찐 사람은 기(氣)가 허(虛)하고 담(痰)이 많으므로 담을 삭이고[豁] 기(氣)를 보해야 한다. 여윈 사람은 혈이 허하고 화가 있으므로 화(火)를 사(瀉)하고 음(陰)을 보[滋]해야 한다[입문]. ○ 살이 찐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하고 얼굴이 흰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한다[단심]. ○ 얼굴이 흰 사람은 발산(發散)시키는 성질이 있는 약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허(虛)한데 더 허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얼굴빛이 검은 사람은 황기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실(實)한데 더 보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기가 실한 사람이 황기을 많이 넣어서 숨차하면 삼요탕(三拗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을 써서 사(瀉)해야 한다[단심]. 
관련된 글
  1. 저널 蔘朮調中湯 및 蔘朮調中湯 合 三拗湯 煎湯液이 家兎의 血漿cortisol에 미치는 影響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48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097 三拗湯(삼요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기천(氣喘)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풍수(風嗽)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8. 방약합편 48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神)] 보통방법[常法]으로 놀라는 증[驚]을 치료한다[常法治驚] 785
[신(神)] 정충증[怔忡] 2422
[신(神)]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것[心澹澹大動] 1289
[신(神)] 전간(癲癎)/신 2552
[신(神)] 전광(癲狂) 2150
[신(神)]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1007
[신(神)]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1454
[신(神)] 5가지의 지를 서로 승하게 해서 치료하는 방법[五志相勝爲治] 855
[신(神)] 신병에 치료하지 못하는 증[神病不治證] 778
[신(神)]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919
[신(神)]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1960
[신(神)] 단방(單方)/신 930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혈(血)] 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陰血生於水穀] 1174
[혈(血)] 혈(血)은 영(榮)이 된다[血爲榮] 1206
[혈(血)] 혈(血)은 기(氣)와 짝이 된다[血爲氣配] 1034
[혈(血)] 맥 보는 법[脈法]/혈 749
[혈(血)] 열에 혈이 상한다[熱能傷血] 1118
[혈(血)] 7정은 혈을 동하게 한다[七情動血] 938
[혈(血)]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761
[혈(血)] 피를 흘리는 여러 가지 증상[失血諸證] 794
[혈(血)] 핏빛을 보고 갓 생긴 것과 오래된 것을 갈라내는 방법[辨血色新舊] 737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혈(血)] 혈병(血病)의 길흉(吉凶)[血病吉凶] 804
[혈(血)] 망혈증(亡血證)과 탈혈증(脫血證)[亡血脫血證] 1023
[혈(血)] 코피[?血] 1428
[혈(血)] 코피를 멈추는 방법[止?法] 1376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혈(血)] 박궐증(薄厥證) 843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