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1962 추천 수 0
◎ 肥瘦用藥 ○ 肥人氣虛多痰宜豁痰補氣瘦人血虛有火宜瀉火滋陰[入門] ○ 肥人補氣面白補氣[丹心] ○ 面白人不可多服發散藥以其氣虛而又虧之也面黑人不可多服黃?以其氣實而又補之也氣實人因服黃?過多而喘者三拗湯(方見咳嗽)以瀉之[丹心]

☞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 살이 찐 사람은 기(氣)가 허(虛)하고 담(痰)이 많으므로 담을 삭이고[豁] 기(氣)를 보해야 한다. 여윈 사람은 혈이 허하고 화가 있으므로 화(火)를 사(瀉)하고 음(陰)을 보[滋]해야 한다[입문]. ○ 살이 찐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하고 얼굴이 흰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한다[단심]. ○ 얼굴이 흰 사람은 발산(發散)시키는 성질이 있는 약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허(虛)한데 더 허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얼굴빛이 검은 사람은 황기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실(實)한데 더 보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기가 실한 사람이 황기을 많이 넣어서 숨차하면 삼요탕(三拗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을 써서 사(瀉)해야 한다[단심]. 
관련된 글
  1. 저널 蔘朮調中湯 및 蔘朮調中湯 合 三拗湯 煎湯液이 家兎의 血漿cortisol에 미치는 影響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48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097 三拗湯(삼요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기천(氣喘)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풍수(風嗽)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8. 방약합편 48 삼요탕(三拗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백미(白薇) 458
[풀(草部)] 대청(大靑) 301
[풀(草部)] 애엽(艾葉, 약쑥잎) 애실(艾實, 약쑥씨) 525
[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71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왕과(王瓜, 주먹참외)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438
[풀(草部)]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530
[풀(草部)] 대계(大?, 엉겅퀴) 소계(小?, 조뱅이) 690
[풀(草部)] 택란(澤蘭, 쉽싸리) 436
[풀(草部)] 방기(防己) 388
[풀(草部)] 천마(天麻) 614
[풀(草部)] 아위(阿魏) 349
[풀(草部)] 고량강(高良薑, 양강) 492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704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2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거자법, 무자법, 산자법으로 침놓는 방법[鍼法有巨刺繆刺散刺] 905
[침구(針灸)] 기경8맥(奇經八脈) 1233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