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18제(十八劑)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90 추천 수 0
◎ 十八劑 ○ 輕劑淸劑解劑緩劑寒劑調劑甘劑火劑暑劑淡劑濕劑奪劑補劑平劑榮劑澁劑溫劑和劑是爲十八也[紺珠]

☞ 18제(十八劑)

 ○ 경제(輕劑), 청제(淸劑), 해제(解劑), 완제(緩劑), 한제(寒劑), 조제(調劑), 감제(甘劑), 화제(火劑), 서제(暑劑), 담제(淡劑), 습제(濕劑), 탈제(奪劑), 보제(補劑), 평제(平劑), 영제(榮劑), 삽제(澁劑), 온제(溫劑), 화제(和劑) 등 이것이 18제이다[감주]. 

◈ 輕劑防風通聖散發表(方見風門) ○ 淸劑凉膈散積熱(方見火門) ○ 解劑小柴胡湯和解(方見寒門) ○ 緩劑大胡湯裏熱(方見寒門) ○ 寒劑大承氣湯?實滿(方見寒門) ○ 調劑調胃承氣湯胃熱(方見寒門) ○ 甘劑天水散虛熱(方見暑門) ○ 火劑黃連解毒湯瀉火(方見寒門) ○ 暑劑白虎湯中暑(方見寒門) ○ 淡劑五?散利水(方見寒門)濕劑三花神祐丸泄水(方見下門) ○ 奪劑三黃丸瀉熱(方見火門) ○ 補劑防風當歸飮子補虛(方見火門) ○ 平劑四君子湯氣虛(方見氣門) ○ 榮劑四物湯血虛(方見血門) ○ 澁劑胃風湯血痢(方見大便) ○ 溫劑理中湯中寒(方寒門) ○ 和劑平胃散和胃(方見五藏)

☞ 경제(輕劑)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같은 것들인데 발산(發散)시키는 약이다. ○ 청제(淸劑)는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열이 몰린[積熱] 데 쓴다. ○ 해제(解劑)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화해(和解)시키는 데 쓴다. ○ 완제(緩劑)는 대시호탕(大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이(裏)에 열(熱)이 있을 때 쓴다. ○ 한제(寒劑)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트직[ ]거나 실(實)하거나 그득(滿)한 데 쓴다. ○ 조제(調劑)는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위(胃)에 열(熱)이 있는 데 쓴다. ○ 감제(甘劑)는 천수산(天水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허열(虛熱)에 쓴다. ○ 화제(火劑)는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화(火)를 사(瀉)하는 데 쓴다. ○ 서제(暑劑)는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더위 먹은 데 쓴다. ○ 담제(淡劑)는 오령산(五?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오줌을 나가게 하는 데 쓴다. ○ 습제(濕劑)는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처방은 설사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수분을 몰아내는 데 쓴다. ○ 탈제(奪劑)는 삼황환(三黃丸,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열(熱)을 내리는 데 쓴다. ○ 보제(補劑)는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허(虛)한 것을 보하는데 쓴다. ○ 평제(平劑)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기(氣)가 허(虛)한 데 쓴다. ○ 영제(榮劑)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혈이 허(虛)한 데 쓴다. ○ 삽제(澁劑)는 위풍탕(胃風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혈리(血痢)에 쓴다. ○ 온제(溫劑)는 이중탕(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중한(中寒)에 쓴다. ○ 화제(和劑)는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위(胃)를 조화[和]시키는 데 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단방(單方)/전음 621
[전음(前陰)] 양기를 약하게 하는 것들[弱陽諸物] 611
[전음(前陰)] 침뜸치료[鍼灸法]/전음 796
[후음(後陰)] 항문의 무게와 치수[肛門重數] 501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후음(後陰)] 치질의 원인[痔病之因] 672
[후음(後陰)]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痔者峙也] 553
[후음(後陰)] 맥 보는 법[脈法] 504
[후음(後陰)]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諸痔名目] 585
[후음(後陰)]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痔有內外] 1376
[후음(後陰)] 맥치(脈痔) 721
[후음(後陰)] 장치(腸痔) 509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후음(後陰)] 혈치(血痔) 640
[후음(後陰)] 주치(酒痔) 518
[후음(後陰)] 수치질[牡痔] 958
[후음(後陰)] 암치질[牝痔] 763
[후음(後陰)] 누치(瘻痔) 477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후음(後陰)] 치루(痔漏) 1750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7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후음(後陰)]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痔病治法] 643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6
[후음(後陰)] 치질 때 꺼릴 것[痔病禁忌] 587
[후음(後陰)] 치질 때 좋지 못한 증상[痔病凶證] 507
[후음(後陰)] 단방(單方)/후음 731
[후음(後陰)] 침뜸치료[鍼灸法] 538
[천지운기(天地運氣)] 의사는 반드시 하늘과 땅의 운기를 알아야 한다[醫當識天地間運氣]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