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약 쓰는 요령[用藥凡例]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65 추천 수 0
◎ 用藥凡例 ○ 凡諸風以防風爲君解利傷風以防風爲君白朮甘草爲佐是風宜辛散也 ○ 凡解利傷寒以甘草爲君防風白朮爲佐是寒宜甘發也 ○ 凡眼暴發赤腫以防風黃芩爲君以瀉火黃連當歸爲佐以和血眼久病昏暗以熟地黃當歸爲君羌活防風爲臣甘菊甘草爲佐 ○ 凡痢疾腹痛以白芍藥甘草爲君當歸白朮爲佐水瀉茯?白朮爲君芍藥甘草爲佐 ○ 凡嗽以五味子爲君痰以半夏喘以阿膠爲佐熱以黃芩爲佐 ○ 凡?以柴胡爲君 ○ 凡小便不利以黃栢知母爲君茯?澤瀉爲佐 ○ 凡下焦有濕以草龍膽防己爲君甘草梢黃栢爲佐 ○ 凡痔漏以蒼朮防風爲君甘草芍藥爲佐 ○ 凡諸瘡以黃連當歸爲君甘草黃芩爲佐[東垣]

☞ 약 쓰는 요령[用藥凡例]

 ○ 모든 풍습[風]에는 방풍(防風)을 주약으로 하고 풍사[風]에 상(傷)한 것을 풀리게 하는 데도 방풍을 주[君]약으로 하여 백출과 감초를 좌(佐)약으로 해야 한다. 왜냐하면 풍사는 맛이 매운 약으로 발산시켜야 좋기 때문이다. ○ 한사[寒]에 상한 것을 낫게 하는 데는 감초를 주약으로 하고 방풍, 백출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왜냐하면 한사[寒]는 맛이 단 약으로 발산시켜야 좋기 때문이다. ○ 눈이 갑자기 벌겋게 붓는 병에는 방풍, 황금을 주약으로 하여 화(火)를 사(瀉)하고 황련과 당귀를 좌약으로 하여 혈[血]을 조화시켜야 한다. 오랜 눈병으로 눈앞이 흐린 데는 숙지황, 당귀를 주약으로 하고 강활과 방풍을 신(臣)약으로 하여 감국과 감초를 좌약으로 해서 써야 한다. ○ 이질(痢疾)로 배가 아픈 데는 백작약과 감초를 주약으로 하고 당귀와 백출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물 같은 설사가 나는 데는 백복령과 백출을 주약으로 하고 감초와 백작약을 좌약으로 해서 써야 한다. ○ 모든 기침에는 오미자를 주약으로 하는데 담이 있으면 반하, 숨이 차면 아교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열(熱)이 있으면 황금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 모든 학질[?疾]에는 시호를 주약[君]으로 해야 한다. ○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는 황백과 지모를 주약으로 하고 백복령과 택사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 하초(下焦)에 습(濕)이 있으면 용담초, 방기를 주약으로 하고 감초(가는 뿌리)와 황백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 치루(痔漏)에는 창출와 방풍을 주약으로 하고 감초와 백작약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 모든 헌데[瘡]에는 황련과 당귀를 주약으로 하고 감초와 황금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頸項)] 목의 부위[頸項部位] 546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6
[옆구리(脇)] 단방(單方)/옆구리 546
[옆구리(脇)]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546
[발(足)]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546
[해독(解毒)] 멀구슬나무중독[苦練毒] 546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물(水部)]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546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배(腹)] 충으로 배가 아픈 것[蟲腹痛] 547
[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547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547
[물(水部)] 급류수(急流水) 547
[전음(前陰)] 한산(寒疝) 548
[한(寒)] 양명병의 음결과 양결[陽明病陰陽結] 548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8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근(筋)] 무릎은 힘줄이 모이는 곳이다[膝爲筋府] 549
[창만(脹滿)] 맥 보는 법[脈法] 549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