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한닥터 2011.08.30 조회 수 560 추천 수 0
◎ 汗多亡陽 ○ 大汗傷氣[得效] ○ 汗者本所以助陽也若陽受陰邪寒結無形須當發去陰邪以復陽氣陰邪旣去而復汗之則反傷陽也經曰重陽必陰故陽氣自亡汗多亡陽此之謂也[東垣]

☞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 땀을 몹시 내면 기(氣)가 상한다[득효]. ○ 땀을 내는 것은 원래 양(陽)을 돕자는 것이다. 만일 양분[陽]에 형체가 없는 음사(陰邪)인 한사[寒]가 몰렸을 때에는 반드시 음사(陰邪)를 발산시키고 양기(陽氣)를 회복시켜야 한다. 음사가 없어진 다음에 다시 땀을 내면 도리어 양기가 상한다. 『내경』에 "중양(重陽)㈜이 되면 반드시 음(陰)이 생긴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양기를 저절로 없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亡陽證)이 생긴다고 한 것은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동원]. 
[註] 중양(重陽) : 양이 극성해진 것이나 중첩된 것을 말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하(下)] 설사[下] 417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한(汗)] 해기(解肌) 538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한(汗)]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不可汗證] 520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한(汗)] 한증하여 땀을 내는 것[蒸劫發汗] 520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汗)] 땀[汗] 566
[토[吐]] 하천고(霞天膏) 630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토[吐]] 단방(單方)/토하게 하는 것 589
[토[吐]] 토하는 것을 멈추는 방법[止吐法] 1356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토[吐]]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할 증[不可吐證] 520
[토[吐]] 토하게 해야 할 증[可吐證] 487
[토[吐]] 약을 코로 넣어 주는 방법[灌鼻法] 503
[토[吐]] 토하도록 돕는 방법[助吐法] 565
[토[吐]]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553
[토[吐]] 토하게 하는 약[吐藥] 1010
[토[吐]] 용토제는 쓰기가 어렵다[涌劑難用] 502
[토[吐]]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病在上宜吐] 501
[토[吐]] 토하게 하는 것은 옛날부터 써 온 방법이다[吐乃古法]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