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한닥터 2011.08.30 조회 수 451 추천 수 0
◎ 下法宜愼 ○ 大凡攻擊之藥有病則病受之病邪輕而藥力重則胃氣受傷夫胃氣者淸純?和之氣也惟與穀肉菜果相宜藥石皆是偏勝之氣雖參?性亦偏?攻擊之藥乎[東垣]

☞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 치는[攻擊] 성질이 있는 약을 병이 있을 때 쓰면 병을 치게 된다. 그러나 사기(邪氣)가 경(經)한 데 쓰면 약 기운이 세기 때문에 위기(胃氣)가 상하게 된다. 위기라는 것은 깨끗하고 순수하며 잘 조화된 기운인데 이 기운은 오직 곡식, 고기, 채소, 과실 맹충서 생겨 보충된다. 약은 다 치우쳐 성하게 하는 성질[偏勝之氣]이 있다. 인삼이나 황기 같은 약도 치우치게 하는 성질이 있는데 하물며 치는 성질이 있는 약[攻擊之藥]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暴?] 859
[풍(風)] 갑자기 넘어지는 것[暴?] 561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풍(風)] 훈증하는 방법[熏法] 672
[풍(風)]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697
[풍(風)]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하는 방법[開?法] 691
[풍(風)]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1140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풍(風)] 맥 보는 법[脈法] 558
[풍(風)] 중풍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中風之名各不同] 678
[풍(風)] 풍비(風痺) 693
[풍(風)] 풍의(風懿) 798
[풍(風)] 풍비(風?) 1574
[풍(風)] 편고(偏枯) 904
[풍(風)] 중풍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中風大法有四] 643
[풍(風)] 적풍(賊風)과 허사(虛邪)가 사람에게 침범하는 것[賊風虛邪中人] 742
[풍(風)] 중풍의 주된 증상[中風大證] 659
[풍(風)] 중풍의 원인[中風所因] 859
[풍(風)] 살찐 사람은 흔히 중풍에 걸린다[肥人多中風] 691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하(下)] 설사를 너무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下多亡陰] 495
[하(下)]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促下法] 524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