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下)

단방(單方) /하(下)

한닥터 2011.08.30 조회 수 504 추천 수 0
◎ 單方 ○ 凡十四種
☞ 단방(單方) ○ 모두 14가지이다. 

? 大麻仁 ○ 治腸胃結熱通利大小便?取汁煮作粥服之[本草]
☞ 대마인(大麻仁, 역삼씨) ○ 장위(腸胃)에 열이 몰린 것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짓찧어 짜낸 즙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 脂麻油 ○ 潤腸胃通利大小腸下熱結空心飮一二合大府卽通[本草]
☞ 지마유(脂麻油, 참기름) ○ 장위(腸胃)를 윤활하게 하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여 열이 몰린 것을 내린다. 빈속에 1-2홉씩 먹으면 대변이 이내 나온다[본초]. 

? 桃花? ○ 破積聚利大小便花落時取?和?作燒餠食之[本草]
☞ 도화악(桃花?, 복숭아꽃받침) ○ 적취(積聚)를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꽃이 질 때 꽃받침을 따서 밀가루에 반죽한 다음 전병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 千金子 ○ 一名續隨子利大小腸爲末飮調一二錢或作丸服[本草]
☞ 천금자(千金子, 일명 속수자(續隨子)) ○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데 가루내서 한번에 4-8g씩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 大黃 ○ 通利水穀蕩滌腸胃?取五錢水煎服或作丸服之亦可[本草]
☞ 대황(大黃) ○ 음식이 잘 내리게 하고 장위(腸胃)를 깨끗하게 씻어낸다.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黑牽牛子 ○ 黑者主水白者主氣取頭末二錢卽下利作丸服亦良[本草]
☞ 흑견우자(黑牽牛子, 견우자) ○ 검은씨는 수(水)기를 주로 다스리고 흰 씨는 기(氣)를 주로 다스린다. 맏물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먹으면 곧 설사가 난다.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 檳? ○ 宣利藏府壅滯氣細硏爲末每二錢蜜水調下[本草]
☞ 빈랑(檳?) ○ 장부(藏府)에 기(氣)가 몰려 막힌 것을 잘 통하게 한다.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봉밀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 甘遂 ○ 破積聚利水穀道爲末調飮服或作丸服[本草]
☞ 감수(甘遂) ○ 적취(積聚)를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大戟 ○ 破?結利大小腸或?三錢水煎服或作丸作散服[本草]
☞ 대극(大戟, 버들옻) ○ 징결(?結)을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썰어서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먹는다. 혹은 알약이나 가루약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 ?花 ○ 利五藏通水道水煎服或末服丸服?佳[本草]
☞ 원화(?花) ○ 5장(五臟)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郁李仁 ○ 通泄五藏治關格不通爲末飮調二錢服或丸服亦佳[本草]
☞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 5장(五臟)을 잘 통하게 하고 관격(關格)되어 통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芒硝 ○ 破積聚利大小便溫湯和服一二錢或入丸散服[本草]
☞ 망초(芒硝) ○ 적취(積聚)를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한번에 4-8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거나 알약이나 가루약에 섞어 먹는다[본초]. 

? 巴豆 ○ 去胃中寒積利水穀道去皮油爲末入丸散用之[本草]
☞ 파두(巴豆) ○ 위(胃) 속에 몰린 한사[寒]를 없애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가루내서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쓴다[본초]. 

? 商陸 ○ 通利大小腸瀉十水腫取白色者末服或丸服良[本草]
☞ 상륙(商陸, 자리공) ○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여 10가지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흰빛이 나는 것을 캐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더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흙(土部)]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701
[풀(草部)] 황금(黃芩, 속썩은풀) 황금자(黃芩子, 속썩은풀 씨) 700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700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습(濕)] 습병에는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과 뜸뜨는 것을 금한다[濕病禁汗下及炙] 700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입과 혀(口舌)] 견순(脣) 699
[한(寒)] 고랭(痼冷) 699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699
[창만(脹滿)] 열창(熱脹) 치료법 699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과실(果部)]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
[풀(草部)]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697
[풍(風)]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697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7
[구급(救急)] 시궐(尸厥) 697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
[목구멍(咽喉)]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696
[배(腹)] 냉이 쌓여서 배가 아픈 것[積冷腹痛] 696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인부(人部)] 인중백(人中白) 696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