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훈증하는 방법[熏法]

한닥터 2011.08.31 조회 수 672 추천 수 0
◎ 熏法 ○ 唐王太后中風不能言脈?而口?許胤宗曰旣不能下藥宜以湯氣熏之藥入?理周時可差濃煎黃?防風湯數斛置于床下氣如烟霧熏之其夕便得言[衍義] ○ 中風脈?口?非大補不可若用有形湯藥緩不及事熏以黃?防風湯使口鼻俱受之此非智者通神之法不能廻也盖人之口通乎地鼻通乎天口以養陰鼻以養陽天主淸故鼻不受有形而受無形地主濁故口受有形而兼乎無形也[丹心]

☞ 훈증하는 방법[熏法]

 ○ 당(唐)나라 왕태후(王太后)가 풍을 맞아서 말을 하지 못하고 맥은 침(沈)하며 이를 악물고 있었다. 허윤종(許胤宗)이 보고 "이미 약도 넘기지 못하게 되었으니 약을 달이면서 김을 쏘여 약 기운이 주리(?理)에 들어가게 하면 하루 지나서 나을 것이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황기방풍탕을 진하게 달여 몇 말을 침대 밑에 놓아 안개 같은 김을 쏘이게 하였는데 그날 밤에 곧 말을 하게 되었다[연의]. ○ 중풍으로 맥이 침하고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세게 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탕약을 쓰면 지나치게 늦어져서 시기를 놓치게 되므로 황기방풍탕을 달여 김을 쏘여서 입과 코로 약 기운이 들어가게 해야 한다. 이것이 유능한 의사의 신통한 수법이다. 대체로 입은 땅 기운과 통하고 코는 하늘 기운과 통한다. 입은 음을 영양[養陽]하고 코는 양을 영양한다. 하늘은 맑은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코는 형체가 있는 것을 받지 못하고 형체가 없는 기를 받는다. 땅은 흐린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입은 형체가 있는 것, 형체가 없는 것도 다 받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승제[六氣承制] 442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이 태과하고 불급하는 해[五運之歲太過不及] 499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부(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천지운기(天地運氣)] 6병년(六丙年)은 만연(漫衍)의 해[六丙年漫衍之紀] 414
[천지운기(天地運氣)] 6무년(六戊年)은 혁희(赫曦)의 해[六戊年赫曦之紀] 634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
[천지운기(天地運氣)] 6임년(六壬年)은 발생(發生)의 해[六壬年發生之紀] 502
[천지운기(天地運氣)] 6을년(六乙年)은 종혁(從革)의 해[六乙年從革之紀] 379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 운기의 주기와 객기, 사람에게 생기는 병[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430
[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395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279
[천지운기(天地運氣)] 묘유년[卯酉之歲] 237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의 객기를 가로 세로 보는 표[六十年客氣旁通圖] 501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심병(審病)] 신(神), 성(聖), 공(工), 교(巧) 468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방법[診病之道] 523
[심병(審病)] 명당의 빛을 보는 방법[明堂察色] 579
[심병(審病)] 5가지 빛으로 예후를 판단하다[五色占吉凶] 518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묘한 방법[察病玄機] 583
[심병(審病)] 내경의 병리기전[內經病機] 644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심병(審病)] 5장은 몸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다[五臟者身之强] 429
[심병(審病)] 갓 생긴 병인가 오래된 병인가를 알아내는 법[占新久病]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