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한닥터 2011.08.31 조회 수 594 추천 수 0
◎ 諸風病名 ○ 頭風多饒白屑 ○ 毒風面傷生瘡 ○ 刺風狀如鍼刺腰痛如錐 ○ 癎風急倒作聲發?急緩 ○ 頑風不識痛痒 ○ ?風頸項斑剝 ○ 暗風頭旋眼黑不辨東西 ○ ?風面生朱點 ○ 肝風鼻悶眼?兩?赤爛 ○ 偏風口眼?斜 ○ 節風肢節續斷指甲脫落 ○ 脾風心多嘔逆 ○ 酒風行步不前 ○ 肺風鼻塞項疼 ○ 膽風令人不睡 ○ 氣風肉如?行 ○ 腎風耳內蟬鳴陰間濕痒寒濕脚氣 ○ ?風半身不遂 ○ ?風手足拳攣 ○ 胃風不伏水土 ○ 虛風風寒濕痒 ○ 腸風脫肛瀉血 ○ 腦風頭旋偏痛 ○ 賊風發聲不響 ○ 産風四肢疼痛 ○ 骨風膝腫如槌 ○ 膝風腿寒骨痛 ○ 心風健忘多驚 ○ 盛風言語蹇澁 ○ 髓風臂膊?疼 ○ 藏風夜多盜汗 ○ 血風陰囊濕痒 ○ 烏風頭面腫塊 ○ 皮風赤白?癬 ○ 肌風遍身瘙痒 ○ 體風身生腫毒 ○ 閉風大便燥澁 ○ 軟風四肢不擧 ○ 綠風瞳人開大 ○ 靑風吐極靑盲 ○ 虎風發吼羊? ○ 大風成片爛瘡[醫說]

☞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 두풍증(頭風證)이라는 것은 머리에 흰 비듬이 많이 생기는 것이다. ○ 독풍(毒風)이라는 것은 얼굴에 헌데가 생기는 것이다. ○ 자풍(刺風)이라는 것은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증상이 있는 것인데 허리가 송곳으로 찌르는 것과 같이 아프다. ○ 간풍(癎風)이라는 것은 갑자기 넘어지면서 소리를 치고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거나 늘어지는 것이다. ○ 완풍(頑風)이라는 것은 아프거나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 역풍(?風)이라는 것은 목에 얼룩점이 생기는 것이다. ○ 암풍(暗風)이라는 것은 머리가 도는 것 같으면서 눈 앞이 캄캄하여 아무 것도 갈라보지 못하는 것이다. ○ 사풍(?風)이라는 것은 얼굴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 것이다. ○ 간풍(肝風)이라는 것은 코가 말째고[悶] 눈이 실룩거리며 눈시울이 벌겋게 진무르는 것이다. ○ 편풍(偏風)이라는 것은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 것이다. ○ 절풍(節風)이라는 것은 팔다리 뼈마디가 끊어지는 것 같고 손발톱이 빠지는 것이다. ○ 비풍(脾風)이라는 것은 구역질을 많이 하는 것이다. ○ 주풍(酒風)이라는 것은 잘 걷지 못하는 것이다. ○ 폐풍(肺風)이라는 것은 코가 메고 목덜미가 아픈 것이다. ○ 담풍(膽風)이라는 것은 잘 자지 못하는 것이다. ○ 기풍(氣風)이라는 것은 살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은 것이다. ○ 신풍(腎風)이라는 것은 귀에서 매미가 우는 것 같은 소리가 나고 음부가 축축하며 가렵고 한습(寒濕)으로 각기(脚氣)가 생기는 것이다. ○ 탄풍(?風)이라는 것은 몸 한 쪽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 ○ 탄풍(?風)이라는 것은 손발이 가드라드는 것이다. ○ 위풍(胃風)이라는 것은 수토(水土)가 맞지 않아서 생기는 병이다. ○ 허풍(虛風)이라는 것은 풍한습으로 가려운 것이다. ○ 장풍(腸風)이라는 것은 항문이 빠져 나오면서 피를 쏟는 것이다. ○ 뇌풍(腦風)이라는 것은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한쪽 머리가 아픈 것이다. ○ 적풍(賊風)이라는 것은 큰소리를 치려고 해도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이다. ○ 산풍(産風)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아픈 것이다. ○ 골풍(骨風)이라는 것은 무릎이 망치모양처럼 붓는 것이다. ○ 슬풍(膝風)이라는 것은 넓적다리가 차면서 뼈가 아픈 것이다. ○ 심풍(心風)이라는 것은 건망증이 있으면서 잘 놀래는 것이다. ○ 성풍(盛風)이라는 것은 말이 잘 되지 않는 것이다. ○ 수풍(髓風)이라는 것은 팔뚝과 어깻죽지가 시큰거리면서 아픈 것[?疼]이다. ○ 장풍(藏風)이라는 것은 밤에 식은땀이 많이 나는 것이다. ○ 혈풍(血風)이라는 것은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이다. ○ 오풍(烏風)이라는 것은 얼굴이 부어서 멍울이 생기는 것이다. ○ 피풍(皮風)이라는 것은 피부에 벌겋거나 흰 반점이 생기거나 버짐이 생기는 것이다. ○ 기풍(肌風)이라는 것은 온몸이 가려운 것이다. ○ 체풍(體風)이라는 것은 몸에 종독(腫毒)이 생기는 것이다. ○ 폐풍(閉風)이라는 것은 대변이 굳어져서 잘 나가지 않는 것이다. ○ 연풍(軟風)이라는 것은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이다. ○ 녹풍(綠風)이라는 것은 눈동자가 커지는 것이다. ○ 청풍(靑風)이라는 것은 몹시 토하면서 청맹(靑盲)이 되는 것이다. ○ 호풍(虎風)이라는 것은 양의 울음 같은 소리를 내는 것이다. ○ 대풍(大風)이라는 것은 한 군데씩 물크러져 헌데가 생기는 것이다[의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살(肉)] 살로써 살찌고 여윈 것을 표준한다[肉主肥瘦] 687
[내상(內傷)] 식궐(食厥) 687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부종(浮腫)] 단방(單方) 687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머리(頭)]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688
[변증(辨證)]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勇怯異形] 688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8
[부종(浮腫)] 약을 먹지 않고도 저절로 물이 빠지게 하는 방법[不服藥自去水方] 688
[오줌(小便)]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689
[전음(前陰)]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689
[학질(?疾)] 학질의 형태와 증상[?疾形證] 689
[학질(?疾)] 귀학(鬼?) 68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물고기(魚部)] 추어(鰍魚, 미꾸라지) 689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백지(白芷, 구릿대) 백지엽(白芷葉, 구릿대잎) 690
[풀(草部)] 대계(大?, 엉겅퀴) 소계(小?, 조뱅이) 690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구급(救急)] 자기손으로 목을 매어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自縊死] 690
[물고기(魚部)] 점어(鮎魚, 메기) 690
[언어(言語)] 신음소리[呻] 69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臟腑氣絶候] 691
[풍(風)] 살찐 사람은 흔히 중풍에 걸린다[肥人多中風] 691
[풍(風)]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하는 방법[開?法]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