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503 추천 수 0
◎ 痺病多兼麻木 ○ 麻是氣虛木是濕痰死血盖麻猶痺也雖不知痛痒尙覺氣微流行在手多兼風濕在足多兼寒濕木則非惟不知痛痒氣亦不覺流行[入門]

☞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 마(麻)는 기(氣)가 허(虛)하여 되는 것이고 목(木)은 습담(濕痰)과 어혈(瘀血)로 되는 것이다. 마는 비증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비록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하나 기운이 약간 돌아가는 것만은 느껴진다. 손에 생기면 흔히 풍습(風濕)을 겸하고 발에 생기면 흔히 한습(寒濕)을 겸한다. 목 때에는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운이 돌아가는 것도 느껴지지 않는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옹저(癰疽)]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癰疽嘔逆] 672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726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옹저(癰疽)]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413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1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옹저(癰疽)] 조리하는 방법과 금하는 것[調理及禁忌法] 357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2
[제창(諸瘡)] 백라창(白癩瘡) 619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580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제창(諸瘡)] 아장선(鵝掌癬)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