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932 추천 수 0
◎ 歷節風病因 ○ 歷節之痛皆由汗出入水或飮酒汗出當風所致[仲景] ○ 歷節風古方謂之痛痺今人謂之痛風也[綱目] ○ 痛風者大率因血受熱已自沸騰其後或涉冷水或立濕地或坐臥當風取凉熱血得寒汚濁凝澁所以作痛夜則痛甚行於陰也治宜辛溫之劑流散寒濕開發?理血行氣和其病自安[丹心] ○ 古之痛痺卽今之痛風也諸書又謂之白虎歷節風以其走痛於四肢骨節如虎咬之狀而名之也[正傳] ○ 痛風之證以其循歷遍身曰歷節風甚如虎咬曰白虎風痛必夜甚行於陰也[入門] ○ 白虎歷節亦是風寒濕三氣乘之或飮酒當風汗出入水亦成斯疾久而不已令人骨節蹉跌[醫鑑]

☞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 역절풍 때의 통증은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술을 마시고 땀이 날 때에 바람을 쏘였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중경]. ○ 옛 의학책에는 역절풍을 통비(痛痺)라고 하였고 요즘 사람들은 통풍(痛風)이라고 한다[강목]. ○ 통풍은 대체로 혈(血)이 열(熱)을 받아 더워질 때 금방 찬물을 건너가거나 습한 곳에 서 있거나 앉거나 누워서 서늘하게 바람을 쏘이면 더워졌던 혈이 차지고[寒] 흐려지면서 잘 돌지 못하게 되어 생기는 것인데 밤에 몹시 아픈 것은 사기(邪氣)가 음으로 돌기 때문이다. 이때의 치료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한습(寒濕)을 헤치고 주리(?理)를 열어 주어야 한다. 혈이 잘 돌고 기가 고르면 병은 저절로 낫는다[단심]. ○ 옛날에 통비라고 한 것이 요즘 통풍이라는 것이다. 여러 의학책에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라고 한 것은 팔다리의 뼈마디가 왔다갔다하면서 아픈 것이 마치 범이 무는 것 같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정전]. ○ 통풍의 증상이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이기 때문에 역절풍이라고 하는데 심해지면 범이 무는 것과 같이 몹시 아프기 때문에 백호풍(白虎風)이라고도 한다. 아픈 것이 꼭 밤에 더 심한 것은 이때에 사기가 음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입문]. ○ 백호역절풍도 역시 풍, 한, 습 이 3가지 사기가 성하면 생기는데 혹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거나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 가도 이 병이 생긴다.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부인(婦人)]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서(暑)] 서풍(暑風) 936
[제창(諸瘡)] 나두창(癩頭瘡) 936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부인(婦人)] 자종(子腫) 934
[오줌(小便)] 고림(膏淋) 933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32
[오줌(小便)] 사림(沙淋) 931
[신(神)] 단방(單方)/신 930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30
[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930
[해독(解毒)] 산초중독[川椒毒] 930
[눈(眼)] 눈이 아픈 것[眼疼] 929
[전음(前陰)]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陰縱陰縮] 929
[손(手)] 어깨뼈와 팔뼈가 어긋난 것[肩臂骨脫臼] 928
[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926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머리(頭)] 기훈(氣暈) 924
[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924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4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피부(皮)]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921
[적취(積聚)] 열울(熱鬱) 921
[신(神)]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920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가슴(胸)] 주심통(?心痛)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