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538 추천 수 0
◎ 歷節風證狀 ○ 歷節風之狀短氣自汗頭眩欲吐手指攣曲身體???其腫如脫漸至?落其痛如?不能屈伸盖由飮酒當風汗出入水或體虛膚空掩護不謹以致風寒濕之邪遍歷關節與血氣搏而有斯疾也其痛如?者爲寒多其腫如脫者爲濕多肢節間黃汗出者爲風多遍身走注徹骨疼痛晝靜夜劇狀如虎咬者謂之白虎歷節久不治令人骨節蹉跌須當大作湯丸不可拘以尋常淺近之劑[得效]

☞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 역절풍(歷節風)의 증상은 숨이 가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토할 것 같으며 손가락이 가드라들고 몸이 울퉁불퉁하게 부으면서 빠져 나가는 것 같다가 점차 떨어져 나가는 것같으며 땅기는 것같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았거나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몸이 허하여 피부가 들떴을 때 몸을 잘 보호하지 못하여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가 온몸의 뼈마디로 돌아다니면서 혈기(血氣)와 부딪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픈 것은 한사(寒邪)가 많기 때문이고 부어서 빠질 것같이 아픈 것은 습사(濕邪)가 많기 때문이며 팔다리에서 누런 땀[黃汗]이 나오는 것은 풍사(風邪)가 많기 때문이다. 온몸으로 왔다갔다하면서 뼛속까지 아픈 것이 낮에는 덜해졌다가 밤에는 더 심해지면서 범이 무는 것같이 아파지는 것은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 이때에는 반드시 달임약이나 알약을 양을 많이 하여 써야지 보통 양으로 치료하여서는 안 된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424
[변증(辨證)] 4철 생기는 병[四時生病] 484
[변증(辨證)] 온갖 병이 처음에 생기는 경위[百病始生] 471
[변증(辨證)] 모든 병은 아침에 경해졌다가 저녁에 중해진다[百病朝慧夕加] 407
[변증(辨證)]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421
[변증(辨證)] 찬 것을 좋아하거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것[便寒便熱] 532
[변증(辨證)] 살이 쪘거나 여윈 데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肥瘦辨病候] 516
[변증(辨證)]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勇怯異形] 688
[변증(辨證)] 장부병이 천천히 전해가는 것[臟腑病緩傳] 469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사기와 정기가 허하거나 실한 것[邪精虛實] 563
[변증(辨證)] 3가지 허한 것과 3가지 실한 것[三虛三實] 455
[변증(辨證)] 맥과 병이 일치되는 것과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0
[변증(辨證)] 표와 본이 서로 반대되는 것[標本相反] 454
[변증(辨證)] 오한과 오열[惡寒惡熱] 523
[변증(辨證)] 영위에 병이 생긴 것[榮衛生病] 515
[변증(辨證)]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能食不能食] 405
[변증(辨證)] 병이 실한 것인가 허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凡病辨有餘不足] 495
[변증(辨證)]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凡病有形無形] 437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변증(辨證)] 남자와 여자 병의 원인[男女病因] 543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변증(辨證)]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53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변증(辨證)]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362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