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481 추천 수 0
◎ 破傷風病因 ○ 破傷風者多由亡血筋無所營故邪得以襲之所以傷寒汗下過多與夫病瘡人及産後致斯病者?可見矣[三因] ○ 破傷風者初因擊破皮肉視爲尋常殊不知風邪乘虛而襲變爲惡候或諸瘡久不合口風邪內襲或用湯淋洗或着艾焚炙其火毒之氣亦與破傷風邪無異也其證寒熱間作甚則口?目斜身體强直如角弓反張之狀死在朝夕[正傳] ○ ?病者是難治也多是血氣內虛風痰盛而成?病凡傷寒雜病汗吐後入風亦成?病大發濕家汗亦成?發瘡家汗亦成?産後去血多亦成?有跌?打傷瘡口未合貫風者亦成?此名破傷風也[回春] ○ 破傷風有四因一者卒暴傷損風邪襲虛二者諸瘡湯洗艾炙逼毒妄行三者瘡口不合貼膏留孔風襲四者熱鬱遍身白痂瘡口閉塞氣難通泄傳播經絡[入門]

☞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 파상풍은 흔히 피를 흘려서 힘줄을 영양하지 못할 때에 사기가 침습하면 생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 때에는 지나치게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상처가 있는 사람과 몸 푼 뒤에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삼인]. ○ 파상풍(破傷風)은 처음 피부가 살이 상했을 때 심상하게 여긴 탓으로 풍사(風邪)가 허한 틈을 타서 침습하여 나쁜 증으로 변하였거나 모든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아서 풍사(風邪)가 속으로 들어가면 생기게 된다. 더운물에 씻거나 뜸뜰 때 생기는 화독(火毒)의 기운도 역시 파상풍의 사기(邪氣)와 다름이 없다. 그 증상은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심하면 이를 악물고 눈이 비뚤어지며 몸이 뻣뻣해지면서 뒤로 잦혀지는 것인데 하루도 못 가서 죽는다[정전]. ○ 치병(?病)은 치료하기 어렵다. 흔히 속에 혈기(血氣)가 허(虛)하고 풍담(風痰)이 성(盛)하면 치병이 된다. 대체로 상한이나 잡병 때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한 다음에 풍사가 들어가도 치병이 생기고 습(濕)이 많은 환자가 땀을 내어도 치병이 생기며 상처가 있는 환자가 땀을 내어도 또한 치병이 생기고 몸 푼 뒤에 지나치게 피를 흘려도 또한 치병이 생기며 타박을 당한 뒤 상처가 아물지 못하였는데 풍사를 받아도 역시 치병이 생긴다. 이것들을 파상풍이라고 한다[회춘]. ○ 파상풍의 원인에는 4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갑자기 심한 상처를 입은 뒤에 풍사(風邪)가 허한 틈을 타서 침범한 것이고 둘째는 여러 가지 상처를 더운 물로 씻거나 뜸을 떠서 독을 모아 퍼지게 한 것이며 셋째는 상처가 아물지 않아 고약을 붙여 두어 풍사가 침범한 것이고 넷째는 온몸에 열이 나면서 흰딱지가 앉아 상처구멍을 막아서 병기운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경락(經絡)으로 퍼져들어간 것 등이다㈜[입문]. 

[註] 파상풍은 파상풍균(혐기성간균)이 침범하여 심한 강직성경련을 주증상으로 하는 급성전염성질병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