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冬爲傷寒]

한닥터 2011.09.03 조회 수 653 추천 수 0
◎ 冬爲傷寒 ○ 從霜降以後至春分前凡有觸冒霜露體中寒邪卽病者謂之傷寒[活人] ○ 春氣溫和夏氣暑熱秋氣淸凉冬氣冷冽此四時之正氣也冬時嚴寒萬類深藏君子固密則不傷於寒夫觸冒之者乃名傷寒其傷於四時之氣皆能爲病而惟傷寒最毒者以其有殺?之氣也中而卽病者爲傷寒不卽病者其寒毒藏於肌膚中至春變爲溫病至夏變爲暑病暑者熱重於溫也是以辛苦之人春夏多溫熱病者皆由冬時觸寒所致非時行之氣也[活人]

☞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冬爲傷寒]

 ○ 상강(霜降) 이후부터 춘분(春分) 전까지 사이에 찬 이슬이나 서리를 맞으면 한사(寒邪)가 몸에 침범하여 병이 생기는데 이것을 상한(傷寒)이라고 한다[활인]. ○ 봄 날씨는 따뜻하고 여름 날씨는 덥고 가을 날씨는 서늘하며 겨울 날씨는 찬데 이것은 4철의 정상 날씨이다. 겨울에는 날씨가 몹시 차므로 세상 만물이 깊이 잠긴다. 위생을 잘 지키면 한사에 상하지 않는다. 한사에 감촉된 것을 상한이라고 한다. 4철 날씨에 상하면 병이 생기게 되는데 그 가운데서 상한병독(傷寒病毒)이 제일 심하다. 그것은 쌀쌀한 기운 때문이다. 한사가 침범하면 곧 병이 생기는데 이것을 상한이라고 한다. 한사가 침범했으나 그 즉시에는 앓지 않고 살 속에 잠복하면 그것이 봄에는 온병(溫病)으로 변하고 여름에는 서병(暑病)으로 변한다. 서병이라는 것은 온병 때보다 몸에 열이 더 심하게 나는 것이다. 부지런한 사람들이 봄과 여름에 온병과 열병을 많이 앓는 것은 겨울에 한사에 감촉되었기 때문이지 돌림병은 아니다[활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8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61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6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6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9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